지난해 금융업 종사자 6명 중 1명은 억대 연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금융연구원이 금융위원회에 제출한 '금융인력 기초통계 분석 및 수급전망'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금융회사 직원 중 연봉이 1억원 이상인 직원 비중은 16.6%를 차지했다.
금융연구원은 지난해 9∼12월 은행, 보험, 증권 등 7개 금융업권의 1천339개사를 상대로 인력현황을 설문조사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
1억 이상 연봉자 비중은 2012년 9.9%에서 2013년 16.5%, 2014년 19.2%로 늘어나는 경향을 보이다가 지난해 들어 증가세가 꺾였다.
이는 고액연봉자 비중이 높은 은행권의 설문 응답비중이 줄어든 영향인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은행권 응답인원은 2014년 13만1천891명에서 지난해 9만5천482명으로 전년 대비 27.6% 감소했다.
연 5천만원 이상을 받는 연봉자는 전체 조사대상 금융사 직원의 60.8% 수준이었다.
급여 수준별 인력비중은 2천500만원 이상 5천만원 미만 구간이 28.8%로 가장 높았고, 5천만원 이상 7천500만원 미만(24.4%), 7천5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19.8%), 1억원 이상 1억5천만원 미만(14.8%) 구간이 그 뒤를 이었다.
연봉 1억5천만원 초과 비중은 1.8%였다. 자산운용·신탁사는 1억5천만원 초과자 비중이 8.5%, 증권·선물사는 이 비중이 3.8%로, 고액 연봉자 비중이 다른 업권보다 높았다.
성별 급여수준을 보면 남성은 5천만원 이상 7천500만원 미만(25.6%), 7천5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26.6%), 1억원 이상 1억5천만원 미만(23.3%) 구간에 걸쳐 비중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했다.
반면 여성은 2천500만원 이상 5천만원 미만 연봉 구간에 절반에 가까운 41.8%가 몰렸고, 1억원 이상 연봉자는 5.1%에 그쳤다.
이는 여성이 창구업무 등 단순직무에 종사하는 비중이 높고, 40∼50대 이상 관리직이 적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연령별 분포를 보면 남성은 20대 8.7%, 30대 30.7%, 40대 39.0%, 50대 이상 21.3%로 40대 비중이 가장 높았지만, 여성은 20대 25.1%, 30대 47.1%, 40대 23.0%, 50대 이상 3.3%로 20∼30대의 비중이 높고 50대 이상은 매우 적었다.
학력별로는 대졸이 59.6%로 과반을 차지했고 이어 고졸(21.7%), 전문대졸(12.4%), 대학원졸(6.3%)의 순으로 많았다.
대졸자 전공은 경영·경제가 41.0%로 가장 많았고, 인문·사회 18.6%, 공학 6.5%, 컴퓨터·통신 6.1%, 법률 5.3%, 자연 4.9%, 기타 17.6% 순으로 나타났다.
금융권의 정규직 비중은 88.1%로 국내 산업 전체 평균(67.5%)을 웃돌았다.
설문에 응답한 금융회사는 향후 1년 이내에 총 4천264명을 추가로 채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가운데 주로 상호저축은행과 증권·선물업계에서 채용이 많이 이뤄질 것으로 조사됐다.(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