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에는 평소보다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서 생활리듬이 깨지기도 한다. 그래서 일상에 복귀했을 때 우울감이나 무기력함을 느낀다.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연휴 기간 동안 예방법은 '현실적 기대'를 하고, '스스로에 맞는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연휴 동안 해야 할 일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하는데, 스스로 활동 속도에 맞게 할 수 있는 일을 정하고 나머지를 분담하면 좋다. '모든 부담을 혼자 지지 않기'이다. 또 일의 목록을 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명절엔 평소보다 과식해서 소화불량이나 배탈을 겪기도 한다. 연휴가 끝나고 나서도 소화가 안 되고 속이 답답하다면, 어떤 질환을 의심해 봐야 할까?
▶평소와 비교해 명절 연휴에는 과음과 과식을 할 기회가 증가한다. 그리고 단기간의 스트레스 증가와 예기 불안 등으로 자율신경계 조절장애가 생겨서 소화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신경성 소화불량, 급성위염 등의 경미한 질환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특히 주부들의 경우 명절이 끝나고 나면, 고된 가사노동으로 인해서 손목이나 허리가 아파서 힘들어하는 분들이 많다. 신체적인 통증을 완화하고, 뭉친 근육을 효과적으로 풀 수 있는 방법은?
▶요리, 집 안 청소와 같은 특정 부위를 과다하게 사용하는 반복 부하가 증가하게 되며, 외부 스트레스가 오랜 기간 반복 누적돼 발생하는 일종의 '누적외상성질환'이 심해지게 된다. 자세에 따라 부위가 다르지만, 관절 부위(목, 어깨, 팔꿈치 및 손목, 허리, 하지)에서 '통증, 쑤시는 느낌, 뻣뻣함, 뜨거운 느낌, 무감각 또는 찌릿한 느낌' 등의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움말 김성희 대구가톨릭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