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마시는 술은 맥주로 나타났다. 지난 50년간 막걸리 전체 출고량은 5배 증가하는데 그쳤으나 맥주는 50배 급증했다.
국세청이 개청 50주년을 맞아 7일 발표한 '통계로 보는 국세청 50년'에 따르면, 지난 1966년 주류 전체 출고량은 73만7천㎘였고 그중 막걸리가 73.7%(54만3천㎘)를 차지해 국민들로부터 가장 많은 사랑을 받았다. 이어 희석식 소주 14.0%(10만3천㎘), 맥주 5.9%(4만4천㎘), 청주 1.9%(1만4천㎘) 순이었다.
하지만 50년이 지난 2014년 주류 전체 출고량은 370만1천㎘로 5배 증가했다. 이 중 맥주가 58.7%(217만3천㎘)를 차지해 1위에 올랐다. 희석식소주 25.9%(95만8천㎘), 막걸리가 11.6%(43만1천㎘)로 뒤를 이었다. 1966년 4위였던 청주는 1만9천㎘로 50년간 5천㎘ 증가하는데 그쳤다.
술과 관련한 한국인의 입맛이 막걸리에서 맥주로 변한 것이다. 맥주는 올림픽이 열린 1988년 102만3천㎘의 출고량을 기록하면서 국민들이 가장 좋아하는 주류로 등극했고, 50년 동안 49.9배 증가했다. 희석식 소주도 1990년 70만2천㎘를 출고하면서 막걸리를 제치고 2위를 차지했다. 막걸리는 2010년 열풍이 불면서 전년 대비 58.1% 증가한 41만2천㎘를 출고했지만 이후 증감을 반복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