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스트레스 많은 20대 여성 '턱관절 장애' 주의해야

보건복지부 제공
보건복지부 제공

턱부위 관절에 이상이 생겨 통증과 기능 장애가 생기는 턱관절 장애를 호소하는 20대 여성들이 늘고 있다.

스트레스나 우울감, 잘못된 생활 습관 등이 주 원인인 턱관절 장애를 예방하려면 스트레스를 줄이고 생활 습관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

24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지급자료 분석 결과를 보면 턱관절 장애 환자는 2010년 24만8000명에서 2015년 34만8000명으로 40.5% 급증했다. 그 사이 진료비는 173억4000만원에서 303억2000만원으로 74.9%나 뛰었다.

환자 중에서는 20대 여성의 비중이 특히 컸다.

작년 통계를 보면 턱관절 장애 환자는 여성이 남성보다 1.5배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환자의 26.9%가 20대로 10대(17.1%), 30대(16.1%)보다 많았다.

턱관절은 머리뼈와 아래턱뼈 사이에 있는 관절로, 입을 벌리거나 음식물을 씹을 때, 삼키거나 말할 때 아래턱을 움직이는 역할을 한다. 턱관절 장애는 턱관절 주변의 근육, 뼈 등에 이상이 생겨서 통증이나 기능 이상이 발생하는 질병이다. 심하면 입을 벌릴 때 '딱딱' 소리가 나기도 한다.

발병 원인으로는 이갈이, 이 악물기, 한쪽으로만 음식을 씹는 습관, 손톱 깨물기, 혀 내밀기, 껌 오래 씹기, 과도하게 입 크게 벌리기 같은 생활 습관 등이 있다. 스트레스, 불안감, 우울증 등 정신적인 요인도 주변 근육의 긴장을 심하게 해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