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부위 관절에 이상이 생겨 통증과 기능 장애가 생기는 턱관절 장애를 호소하는 20대 여성들이 늘고 있다.
스트레스나 우울감, 잘못된 생활 습관 등이 주 원인인 턱관절 장애를 예방하려면 스트레스를 줄이고 생활 습관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
24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지급자료 분석 결과를 보면 턱관절 장애 환자는 2010년 24만8000명에서 2015년 34만8000명으로 40.5% 급증했다. 그 사이 진료비는 173억4000만원에서 303억2000만원으로 74.9%나 뛰었다.
환자 중에서는 20대 여성의 비중이 특히 컸다.
작년 통계를 보면 턱관절 장애 환자는 여성이 남성보다 1.5배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환자의 26.9%가 20대로 10대(17.1%), 30대(16.1%)보다 많았다.
턱관절은 머리뼈와 아래턱뼈 사이에 있는 관절로, 입을 벌리거나 음식물을 씹을 때, 삼키거나 말할 때 아래턱을 움직이는 역할을 한다. 턱관절 장애는 턱관절 주변의 근육, 뼈 등에 이상이 생겨서 통증이나 기능 이상이 발생하는 질병이다. 심하면 입을 벌릴 때 '딱딱' 소리가 나기도 한다.
발병 원인으로는 이갈이, 이 악물기, 한쪽으로만 음식을 씹는 습관, 손톱 깨물기, 혀 내밀기, 껌 오래 씹기, 과도하게 입 크게 벌리기 같은 생활 습관 등이 있다. 스트레스, 불안감, 우울증 등 정신적인 요인도 주변 근육의 긴장을 심하게 해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