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게이트 진상 규명을 위한 청문회'는 사실상 삼성그룹에 대한 청문회 양상으로 진행됐다. 국내 주요 대기업 총수들이 대거 출석했지만 여야 의원들의 질문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게 집중됐다. 검찰수사 과정에서 삼성그룹이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금 외 최순실 씨 일가에 별도의 지원금 80억원을 제공한 정황이 포착됐기 때문이다. 특히, 국민연금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과정에 찬성표를 던지는 형식으로 삼성그룹의 경영권 승계 과정에 부당하게 개입한 의혹까지 더해지면서 이 부회장을 향한 정치권의 파상 공세는 불을 뿜었다.
이 부회장은 이날 최 씨 일가와 삼성그룹의 거래에 모종의 대가가 오고 가지 않았느냐는 여야 의원들의 잇단 질문 공세에 '기억에 없다' '검찰'특검 수사 중이라 답변이 곤란하다' '보고를 받지 못했다' '부적절한 방법이 동원돼 송구스럽다' '반성하고 더욱 열심히 하겠다'는 대답으로 일관했다. 특검 수사를 앞둔 상황이라 사전에 뇌물 공여 혐의와 관련한 일체의 질문에는 답변을 하지 않기로 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 부회장은 삼성그룹이 정유라 씨가 전용으로 사용할 말을 대신 구입하고 최 씨 일가가 소유한 독일 현지 법인에 직접 돈을 지원한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사죄의 뜻을 나타냈다.
이 부회장은 "부적절한 방법으로 회사의 돈이 지출된 것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하고 저와 회사 경영진의 선택은 창피한 일로 후회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최 씨 일가에 대한 삼성의 지원 결정이 어떻게 이뤄졌는지, 막후 실세였던 최 씨의 영향력을 언제 파악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대답을 회피했다.
아울러 이 부회장은 자신의 경영권 승계를 위한 사전 정지 작업인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과정에 국민연금이 협조하도록 비선 실세를 상대로 로비를 했느냐는 의혹에 대해서는 강력 부인했다.
이 부회장은 "두 회사의 합병은 적법 절차에 의해 이뤄졌으며 저의 지분이 중요한 게 아니라 회사가 잘되는 게 중요하다"고 반박했다. 다만, 이 부회장은 격앙된 비난 여론을 의식한 듯 계열사에 대한 통제 수단으로 활용돼 온 그룹 미래전략실을 해체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와 함께 최근 일련의 사태와 관련해 책임을 통감, 능력이 출중한 분이 있으면 언제든 그분에게 경영권을 맡기고 2선으로 물러나겠다는 뜻도 나타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조국혁신당 '창립멤버' 은우근 탈당…"성 비위 피해자에 공격 멈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