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삼성창조경제단지가 2년여간의 공사를 마무리하고 오는 3월 개관을 기다리고 있다.
대구시와 삼성이 옛 제일모직 부지(북구 침산'칠성동)에 조성 중인 대구창조단지는 비수도권 최대 창업거점을 표방하고 있다.
대구삼성창조경제단지는 2016년 5월 전국적인 주목을 받으며 공사를 시작했다.
2014년 9월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가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 중 1호로 확대 출범하면서 대표적인 성과물로 기대를 받았다.
1월 6일 현재 대구삼성창조경제단지의 공정은 마무리 단계다. 담장을 걷어낸 대구창조단지는 세련된 대학 캠퍼스의 형태로 막바지 단장에 신경을 쓰고 있다.
옛 제일모직의 나즈막한 기숙사와 신축 건물이 조화를 이루면서 모던한 매력을 자랑하고 있다.
삼성그룹의 모태가 된 이 공간이 이제 시민과 창업자들의 꿈을 실현하는 공간으로 거듭날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일에는 삼성그룹의 모태인 대구 삼성상회 건물이 대구 북구 침산동 대구삼성창조경제단지에서 복원을 마치고 모습을 드러냈다.
삼성상회는 현 삼성물산의 전신으로, 삼성상회 건물은 고(故)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가 지하1층, 지상 4층 규모로 세운 목조 건축물이다. 1938년 건설된 이 건물은 1997년 붕괴 우려로 철거됐다.
복원된 삼성상회 건물은 대구삼성창조경제단지 내 삼성존에 있던 옛터에 자리잡았다. 옛 건물과 같이 지상 4층 규모로 조성됐으며, 삼성물산이 보관했던 옛 삼성상회 건물 자재를 활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존에는 삼성의 탄생과 역사를 볼 수 있는 창업기념관과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의 집무실 등이 재현될 예정이다.
대구창조단지는 총부지 면적이 9만199㎡다. 창조단지 내 총 4개 구역, 14개 건물동의 전체 면적을 모두 합하면 3만6천474㎡에 이른다. 국내 최대의 창업시설로 불리는 경기도 판교의 스타트업 캠퍼스(부지 1만7천364㎡, 전체 면적 5만4천160㎡)를 능가하는 규모다.
단지 조성비는 순수 공사비 900억원에 부지 비용까지 고려하면 총 2천억원에 달한다. 삼성이 부지와 조성비를 부담했고, 대구시와 삼성이 함께 단지의 활용계획을 수립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