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공항 이전, 발목 잡지 말고 관문공항 건설에 힘 모으자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K2'대구공항 통합이전에 대한 반대 목소리가 여전히 숙지지 않고 있다. 일부 유력 인사들은 공항 이전을 놓고 '민간공항까지 옮길 필요가 있느냐' '정부 지원 없이 옮기는 것은 안 된다'는 식으로 부정적인 발언을 쏟아냈다. 현재 국방부가 이전 후보지 선정을 위해 경북 4개 지역에서 주민설명회를 여는 와중에, 대구 지역의 의견이 엇갈리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통합이전을 부정적으로 보는 대표 인사는 이진훈 수성구청장이다. 내년 대구시장 출마를 염두에 둔 이 구청장은 대구 시민의 여론 수렴 과정이 없었다며 대구시의 졸속 추진을 문제 삼았다. 그는 소음이 심각한 K2 기지 혹은 제11전투비행단만 이전해야 하고, 정부가 이전 비용을 부담하는 것이 맞다고 주장했다. 차기 대선주자와 지역 국회의원들이 이 정도는 약속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강주열 하늘길 살리기 운동본부 집행위원장도 비슷한 의견을 밝혔다. 그는 K2 이전터를 개발해 이전 비용을 대는 군공항이전특별법의 '기부 대 양여' 방식은 시민에게 빚만 떠안길 수 있어 위험하다고 주장했다. 부산 김해공항은 국비 4조원이 투입되는 데 반해, 대구는 땅 팔아 스스로 돈을 마련해야 하니 형평성 차원에서도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통합이전 반대론자들은 정부 돈으로 K2만 옮기고, 민간공항은 남겨둬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이들의 주장은 얼핏 타당하고 설득력도 있어 보인다. 정부 지원으로 공항을 만들어도 시원찮을 판에 이전터 개발사업으로 돈을 모아 공항을 옮겨야 하니 억울한 일임이 틀림없다.

그렇지만, 문제는 이들의 주장이 실현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정부가 현행법 아래에서 K2 이전 비용을 지원해 줄 리 없고, 박근혜정부도 못한 일을 차기 정부가 해주리라는 보장도 없다. 무엇보다 이번 기회를 놓치면 공항 이전의 숙원을 영원히 해결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추진 과정에 이런저런 논란이 있을 수밖에 없지만, 이제 와서 엇길로 가거나 방향을 수정하면 공항 이전을 하지 말자는 얘기와 다를 바 없다. 통합이전은 힘들고 어려운 길이지만, 관문공항 건설을 위해 밀고 가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