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이상 노인의 고혈압 진단 기준을 수축기혈압 150㎜Hg로 완화하라는 권고가 나왔다. 이는 현재 통용되는 고혈압 진단 기준(수축기혈압 140㎜Hg, 이완기혈압 90㎜Hg)보다 약간 높다. 보통 수축기혈압이 140~159㎜Hg일 때 관찰이 필요한 1단계 고혈압으로 간주한다.
16일 미국내과학회(ACP)와 미국가정의학회(AAFP)는 60세 이상 고혈압 진단 기준을 수축기혈압 150㎜Hg로 설정하라는 권고 지침을 냈다.
수축기혈압이 150㎜Hg 이상인 상태가 꾸준히 지속될 때 뇌졸중이나 심장질환 예방을 위한 치료를 시작하라는 게 골자다. 진단 기준을 완화한 것은 60세 이상 노인은 치료로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적고 오히려 혈압이 지나치게 떨어져 실신하는 부작용 위험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단, 뇌졸중을 앓은 적이 있거나 심혈관질환 위험이 크다면 수축기혈압이 140㎜Hg 이상이면 약물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두 학회는 "혈압 외에 다른 문제가 없는 건강한 노인이라면 이 기준은 적절한 수준"이라며 "이완기혈압은 근거가 부족해 따로 제시하지 않았다"고 했다.
두 학회에 따르면 정확한 혈압 측정을 위해서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여러 차례 측정하는 것이 가장 좋다. 특히 일부 환자들은 병원에서 혈압이 평소보다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또 고혈압약을 처방하는 의사는 효능은 뒤떨어지지 않으면서 비용이 낮아 복약 순응도가 높은 복제약을 선택하도록 권고했다. 두 학회가 공동으로 마련한 권고 지침은 이날 발간된 '내과학연보'(Annals of Internal Medicine) 최신호에 실렸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