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침체에 더해 대내외 불확실성까지 가세하면서 지난해 가구소득·소비·분배 지표가 모두 금융위기 수준으로 곤두박질쳤다.
제조업 불황, 높은 실업률 등으로 가구소득 증가 폭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고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소비지출 역시 사상 첫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고용 한파가 비정규직·임시직 등에 집중되면서 소득 기반이 약한 저소득층의 소득 감소 폭은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고 빈부 격차도 악화됐다.
24일 통계청의 '2016년 4분기 및 연간 가계동향'을 보면 지난해 연간 가구당 월평균 소득(명목·전국 2인가구 이상)은 439만9천원으로 전년보다 0.6% 늘어나는데 그쳤다.
증가 폭은 전년(1.6%)보다 1.0%포인트나 줄어든 것으로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가장 낮은 것이다.
소득별로 보면 사업소득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소득 지표가 악화됐다.
특히 가구소득 중 비중이 가장 큰 근로소득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은 294만8천원으로 전년보다 1.0% 늘어났다. 1.6%의 증가율을 보인 전년보다 증가 폭이 0.6%포인트 떨어진 결과다.
이전소득은 44만6천원으로 기초연금 도입 효과 감소 등 영향으로 증가폭이 9.4%에서 2.1%로 둔화됐다.
저금리 등 영향으로 월평균 재산소득은 16만1천원을 기록, 전년보다 18.4% 줄어 들어 역대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사업소득은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로 감소했던 기저효과 등 영향으로 플러스로 전환하며 1.5% 늘어났다.
경조소득, 퇴직수당 등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비경상소득은 12만9천원으로 전년보다 14.5% 줄었다.
물가 인상을 반영한 가구당 월평균 실질소득은 전년보다 0.4% 줄어들었다.
가구 실질소득이 줄어든 것은 금융위기 여파에 몸살을 앓던 2009년 1.5% 줄어든 이후 7년 만에 처음이다.
가구 실직소득 증가 폭은 2015년 전년보다 0.9% 줄어들며 2년 만에 0%대로 떨어진 데 이어 지난해 아예 마이너스로 돌아서고 말았다.
소득 기반이 악화하면서 가처분소득 증가 폭도 크게 둔화됐다.
가처분소득은 소득에서 세금·연금·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뺀 것으로 통상적으로 의식주 생활을 위해 한 가구가 실제로 지출할 수 있는 금액을 뜻한다.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가처분소득은 358만8천원으로 전년보다 0.7%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던 2009년(0.7%)과 같은 수준이다.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31만2천원으로 1년 전보다 0.2%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09년 3분기 0.8% 줄어든 이후 증가 폭이 가장 낮은 수치고 4분기 기준으로는 역대 최저다.
사업소득(2.2%), 공적연금 등 이전소득(2.9%) 등은 증가했지만 근로소득 증가폭이 0.4%로 쪼그라들며 소득 증가의 발목을 잡았다.
4분기 실질 가구소득은 1.2% 줄어들며 0.1% 줄어든 전분기보다 감소 폭이 커졌고 4분기 기준으로 6년 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월평균 가처분소득은 354만1천원으로 1년 전보다 0.4% 찔끔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해 가계 소비지출은 소득 기반 악화에 더해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최순실 국정농단 등 대내외 불확실성까지 겹치면서 사상 처음으로 뒷걸음질 쳤다.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55만원으로 1년 전보다 0.5% 감소하며 2003년 이후 처음으로 줄어들었다. 실제 물가 상승 효과를 제거한 실질 월평균 소비지출은 1.5% 감소했다.
평균소비성향은 71.1%로 0.9%포인트 하락하며 5년 연속으로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특히 지난해 4분기 평균소비성향은 69.7%로, 분기 기준 역대 최저이자 사상 처음으로 60%대로 내려앉았다.(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