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1일부터 계열사별 자율경영 체제에 들어갔다.
그룹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왔던 미래전략실(미전실)이 전날 해체됨에 따라 60개 계열사는 각각 이사회를 중심으로 독자경영에 나서게 됐다. 사실상 그룹의 해체라고 봐도 무방하다는 게 삼성 측 설명이다.
삼성전자'생명'물산 등 3대 주력 계열사가 미전실의 기능을 승계한다고 하지만 강력한 컨트롤타워가 존재했던 종전과는 달리 예상치 못한 총괄 업무상 공백이나 혼란 등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각 계열사의 대표이사와 임원 인사만 해도 그동안 미전실 인사팀이 주도했지만, 이제는 각 계열사 이사회 주도로 바뀌게 된다.
삼성이라는 통일된 브랜드 이미지도 지금보다는 약화될 가능성이 크다. 그룹의 이미지는 희석될 수밖에 없다. 삼성 계열사들은 한층 더 긴장해서 독자생존을 모색해야 할 상황이다.
그룹 차원의 업무조정 기능이 폐지되기 때문에 일부 계열사 간의 중복투자가 현실화할 수도 있다.
또 신입사원 채용도 앞으로는 계열사가 필요에 따라 알아서 뽑는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전체적인 규모가 줄고, 사회적 약자 등에 대한 배려 폭도 감소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삼성그룹은 매년 1만 명 이상의 신입'경력 사원을 뽑아왔다.
삼성 계열사들이 전문경영인 체제로 돌아가다 보면 단기 실적에 쫓겨 중장기 사업에 대한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계열사 경영진단 기능의 약화도 우려된다. 그동안 미전실 경영진단팀은 계열사 경영상황을 혹독하게 파헤치고 엄밀히 분석해 문제점과 방향성 등을 제시해왔다. 이제는 각 계열사가 자체적으로 점검하고 스스로 길을 찾아가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
삼성 고위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모든 사안을 계열사가 알아서 자율경영한다는 큰 원칙만 정해졌을 뿐 세부적인 지침은 전혀 나온 게 없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