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혼술 늘고 회식 기피…술집 하루 10곳 폐업

일반주점 사업자 1년새 6.1%↓…커피음료점은 작년보다 20.1%↑

혼술(혼자 음주)과 홈술(집에서 음주) 문화가 자리 잡고 'n차'(2차 또는 3차) 회식이 사라지면서 술집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11일 국세청의 생활밀접업종 사업자 현황에 따르면 올해 1월 전국 일반주점 사업자는 5만5천761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5만9천361명) 대비 6.1%(3천600개) 감소한 것이다. 하루 평균 10곳가량이 폐업한 셈이다.

일반주점 사업자는 2015년 12월만 해도 6만1명으로 나타났으나 이후 매달 감소세를 보이며 1년 만에 5만 명대 중반까지 떨어졌다. 17개 시'도별로 보면 울산에서 술집이 전년 대비 10.9%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또 인천(-10.1%)과 서울(-7.8%) 등 특별시'광역시를 중심으로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불경기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주점업의 서비스업 생산(매출 기준으로 집계)은 2014년 7년 전년 동월 대비 7.6% 증가한 이후 2016년 6월(3.8%)을 제외한 매달 마이너스 성장으로 나타났다. 지난 2월에도 전년 대비 4.2% 감소했다.

2010년 서비스업 생산을 100으로 본 지난 2월 주점업의 서비스업 생산 지수는 70.5로 2000년 1월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가장 낮았다. 2010년과 비교해 매출액이 30%가량 줄었다는 뜻이다.

주점과 달리 커피음료점 사업자 수는 대폭 증가하는 분위기다. 지난 1월 기준 커피음료점 사업자는 3만8천202명으로 전년 대비 20.1% 늘었다. 시'도별로는 세종시가 31.2% 늘었고 전북도 29.3% 증가하는 등 30% 안팎의 성장세를 보인 곳도 있었다. 커피음료점을 비롯한 비알코올음료점업의 서비스업 생산은 2015년 6월(-4.8%) 이후 매달 늘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