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경북민이 앞장서 올바른 대통령을 뽑자

주요 대선 후보들이 연일 대구를 찾아 누비는 것은 예년에 볼 수 없던 새로운 현상이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17일 후보 등록 후 첫 선거운동을 대구에서 시작했다. 민주당이 대구에서 공식 선거운동을 시작한 것은 예상 밖의 이벤트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도 같은 날 칠성시장과 동성로를 찾았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18일 서문시장과 동성로에서 유세를 펼쳤다.

과거 대선에서는 주요 후보들이 대구경북을 '보수 정당의 텃밭'이라고 해서 그냥 스쳐 가거나 어쩔 수 없이 들르는 곳쯤으로 인식한 것이 사실이다. 지금은 지역 민심을 잡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으니 지역 유권자들은 이를 반겨야 할지, 께름칙하게 여겨야 할지 어리둥절한 상황이다. 대구경북민 다수가 아직도 투표할 후보를 정하지 못한 '부동층'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지역민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사태 이후 정치적'심리적 공황 상태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 박 전 대통령의 불행한 결말은 어쩔 수 없지만, 지역민의 정서와 맞아떨어지는 대선 후보가 없다는 점은 지역민의 선택을 어렵게 한다.

문재인 후보의 진보 성향이 싫어서 안철수 후보나 홍준표 후보에게 쏠리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언제든지 바뀔 수 있는 일시적인 감정 표현에 불과한 것 같다. 주위에 물어보면 어제는 A후보, 오늘은 B후보로 선호도가 자꾸 바뀌는 이들이 적지 않은 걸 보면 지역 판세가 어떻게 출렁일지 짐작조차 어렵다. 지역민에게 이번 대선은 지난해 말 미국 대선처럼 최선의 후보가 아니라 '차악'의 후보를 뽑는 선거로 인식돼 있음이 분명해 보인다.

그렇더라도, 투표는 포기하거나 아무렇게나 찍어선 안 되는 신성한 권리다. 대구경북에 의해 이번 대선의 향방이 좌우된다면 제대로 된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 옳은 방법이다. 일시적인 감정이나 기분에 좌우되기보다는, 그나마 대한민국을 제대로 이끌 수 있을 만한 후보를 뽑아야 한다. 지역민 저변에 깔려 있는 패배적인 생각을 떨치고, 자신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펼쳐야 할 것이다. 어쩌면 이번이 지역민의 현명한 판단이 가장 필요한 때일지 모른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