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Q.[과탐] 내년 고교 과학탐구실험 어떻게 개설?

중학교 3학년 학부모입니다. 아이가 내년 고교에 입학하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도입되는 '과학탐구실험' 과목이 어떻게 진행될지 궁금합니다.

▶기대연 멘토=고등학교 '과학탐구실험'은 교과서가 워크북 형태로 제공될 예정이어서 학생들이 즐겁게 과학개념이나 원리를 검증할 수 있으며 과학이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알게 해 줄 것입니다. 또한 생활 주변에서 과학과 관련된 문제를 찾고 이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과학개념과 탐구력을 활용하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고교 '과학탐구실험' 과목은 '역사 속의 과학탐구' '생활 속의 과학탐구' '첨단과학탐구' 등 3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역사 속의 과학탐구'는 옛 과학자들이 행했던 역사적인 실험들을 수행함으로써 우연한 발견, 패러다임의 전환을 가져온 각종 실험 등을 이해함과 동시에 과학이 자연현상을 설명하려는 인간 노력의 산물임을 알게 되는 영역입니다. 탐구활동 영역으로는 자유낙하와 수평으로 던진 물체의 운동 비교, 주기율표 만들기, 파스퇴르의 생물속생설 도출 과정, 지질시대의 생물 대멸종의 원인과 그 후 변화 등을 탐구합니다.

'생활 속의 과학탐구' 영역은 생활제품, 문화, 놀이와 체험 등 생활 속의 과학 원리를 찾아냄으로써 실생활 속 과학탐구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탐구영역으로는 우리 주변 천연항생물질 찾기, 생활주변에서 탐구 가능한 질문을 찾아서 탐구수행 하기, 운동 관련 안전사고 예방장치 고안, 한반도의 기후변화 경향성 파악, 산성화된 토양, 호수 등을 중화시키는 방법 고안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첨단과학탐구' 영역에서는 첨단과학기술에 적용된 과학 원리를 찾아내는 탐구활동을 수행하고 결과를 공유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갖도록 합니다. 탐구영역으로는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장치 고안, 신소재 개발사례 조사, 지속 가능한 친환경 에너지도시 설계, 적정기술(適正技術)을 적용한 장치 고안 등이 있습니다.

위와 같이 '과학탐구실험' 과목은 과학의 핵심개념 이해 및 과학적 사고력, 탐구능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등을 기를 수 있도록 편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수업은 실험, 조사, 과제 연구, 과학관 견학 등 학생 참여형 수업과 협업을 바탕으로 한 산출물 발표회 등이 주로 될 것입니다. 평가도 탐구활동 수행 능력과 이를 일상생활에 활용하는 능력에 중점을 두고 평가할 예정이어서 선다형 평가보다는 수행평가, 포트폴리오 등을 활용한 개인별 평가와 더불어 협동심을 함양하기 위한 모둠 평가도 활용될 예정입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