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사드 장비 반입, 굳이 한밤중에 군사작전하듯 해야 했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관련 장비가 26일 성주골프장에 한밤중에 전격적으로 반입된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그 와중에 반대 시위를 벌이던 주민 10여 명이 다치는 안타까운 사건도 있었다. 정부와 군 당국이 사드 장비를 반입하더라도 정상적이고 당당한 방식으로 했더라면 좋았을 터인데, 군사작전을 방불케 하듯 8천 명의 경찰병력을 동원해 반입한 것은 그리 잘했다고 보기 어렵다.

정부와 군 당국이 사드 관련 장비를 몰래 반입할 것이라는 소문은 일찌감치 나돌았다. 정부가 이달 초 사드 배치 대가로 성주에 대한 주민지원책을 이미 내놓은데다, 군사보호구역 지정, 주한미군과의 부지공여 협정 등 행정절차를 차곡차곡 진행한 상태여서 사드 배치가 임박한 듯 보였다.

그렇지만, 시위대가 성주골프장으로 향하는 도로를 막고 있는데다, 대통령 선거를 코앞에 둔 시점에 정부와 군당국이 이런 무리수를 쓰면서 강행하리라고 예상한 이는 거의 없었다. 정부와 군 당국이 이렇게 서두른 것은 차기 대통령의 의사와 관계없이 사드 배치를 되돌릴 수 없도록 하기 위해서인 것으로 보인다.

미군이 성주골프장에 반입한 장비는 차량형 이동식 발사대 2대, 사격통제 레이더, 교전통제소 등 트럭 20대 분량이니 사드 1개 포대 장비 상당 부분이 반입된 셈이다. 여기에 시설공사만 하면 실질적으로 사드 배치가 완료된 것이나 마찬가지다. 성주골프장은 주한미군에 부지를 공여한 곳이어서 정부 차원에서 미국과 협상을 새로 하면 모를까, 시위대나 주민들이 더는 어찌할 수 없는 상황이다.

사드 배치는 어느 정도 되돌릴 수 없는 일이 됐다. 이제는 정부가 앞장서 주민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때다. 정부가 이달 초 성주군에 약속한 사업비 1조3천억원 규모의 주민 지원 약속을 철저하게 지켜야 한다. 김천지역 주민들에 대한 지원책도 함께 마련해야 두 지역 간 갈등도 없어질 것이다. 현 정부의 약속을 차기 정부가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차기 정부는 두 지역 주민들이 1년 가까이 사드 배치를 놓고 엄청난 고통을 겪어왔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