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합천 정양레포츠공원 밀어붙이기식 행정, 업체 대표 1인 시위

공고→공고 취소→재공고 번복, "생존권 박탈" "보상 근거 없다"

"10년간 투자해 온 장비나 프로그램에 대한 보상책 마련도 없습니다. 이런 재산상의 피해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기식 행정을 펴는 합천군의 횡포에 분노를 느낍니다."

특정업체 봐주기 논란이 일고 있는 경남 합천군 '정양레포츠공원' 민간위탁과 관련(본지 8일 자 8면 보도), 12일 합천군청 앞에서 입찰에 참여했던 HLD(합천레저개발) 김재조 대표가 1인 시위를 벌였다.

합천군이 민간위탁해 운영하기로 한 '정양레포츠공원'이 공고와 취소공고, 재공고를 반복하는 일관성 없는 행정으로 특정업체 봐주기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김 대표는 2008년부터 '정양레포츠공원' 내에 있는 수상레저시설을 운영해 왔다. 그러나 합천군이 올해 오토캠핑장을 유료화시키면서 공원'오토캠핑장'수상레저시설들을 한데 묶어 총괄 직영할 수 있는 민간위탁 관리운영자를 모집했다. 김 대표는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입찰에 참여했고 결국 떨어졌다.

더 이상 수상레저시설을 운영할 수 없게 된 김 대표는 "10년간 열악한 환경 속에서 투자해 가며 여기까지 왔다. 아무런 대비책이나 통보도 없이 일방적으로 입찰에 부친다는 것은 그동안 운영'투자해 온 업자를 무시하고 생존권을 하루아침에 박탈시키는 행위이며 합천군의 횡포"라고 호소했다.

김 대표는 또 "수상레저법이 엄연히 별도로 존재하는데 오토캠핑장과 하나로 묶어 직영케 한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캠핑장과 수상레저의 전문성을 평가해 따로 입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합천군 관계자는 "오토캠핑장을 유료화시키면서 올해가 전체 시설에 대한 총괄 직영을 위탁할 적기라고 판단했다"며 "군이 보상을 해주고 싶어도 보상 근거가 없다"고 했다.

한편 합천군은 공원시설과 오토캠핑장, 수상레저시설을 갖춘 '정양레포츠공원' 민간위탁 공고를 3차례에 걸쳐 번복하면서 오락가락한 행정이 구설에 올랐다. 특히 위험시설(수상레포츠) 운영자를 선정하면서 입찰 방식을 전문성 대신 가격경쟁으로 전환시키자 특혜 의혹이 불거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