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문협회(회장 이병규) 창립 기념 발행인 세미나가 15일 대전 유성호텔에서 열렸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포털 서비스가 뉴스 저작물에 기여하는 정도와 외국 신문 지원 정책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 신문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안민호 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교수는 '포털뉴스 서비스에서 뉴스 저작물의 기여도에 관한 계량적 분석' 발표에서 "우리 국민이 PC, 모바일 등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일주일에 272.53분 뉴스를 보며, 포털 체류 시간의 40% 정도는 뉴스 이용과 관련됐다"고 했다. 또 이를 통해 PC와 모바일 광고를 통한 네이버와 카카오의 합계 매출액을 기준으로 뉴스 저작물 전재료를 추산하면 3천528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어 박성희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는 '선진 외국의 신문 지원 정책의 현황과 시사점'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유럽의 신문 지원 정책은 신문의 뉴미디어 진출과 디지털화, 경영합리화, 저널리즘 능력 강화 등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서 "신문 진흥 정책은 신문사를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 민주주의를 위한 인프라를 되살리는 민주주의 진흥 정책으로 접근해야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기술의 변화에 수반되는 미디어 환경에서 저널리즘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고 재원과 수익을 공평하게 나누도록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