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최소한 기초군사훈련은 받아라, 프랑스, '한달간 단기징병제' 시행 여부 5월 중 결정

프랑스 정부가 청년들에게 한 달간의 기초 군사교육을 의무화하는 '보편적 국방의무제'의 초안을 마련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5월 중에 의무복무제의 시행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예정이다.

30일(현지시간) 주간 '주르날 디 뒤망슈'에 따르면 프랑스 국방부의 실무검토반은 청년들을 한 달간 징병해 집체교육을 하는 방안을 마련해 최근 마크롱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프랑스는 부족한 병력을 보충하고 청년들의 국가적 자긍심을 고취한다는 목표로20세 전후의 남녀를 한 달간 징집해 매우 기초적인 수준의 군사교육과 집체교육을 강제하는 방안을 추진해다.이는 마크롱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다.

국방부 실무그룹은 징병 기간을 한 달로 하고 적용 연령을 만 16세 이상으로 하는 방안을 마련해 이를 지난 26일 대통령실에 제출했다.이 보고서는 시행을 발표하기에 앞서 정부가 청년들의 여론을 광범위하게 조사할 것도 권고했다.

프랑스 정부는 이 '보편적 국방의무제'를 통해 연간 60만∼80만 명의 병력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목적은 병력창출보다는 청년들에 대한 사회교육에 방점이 찍혀있다.

실무검토단의 제안을 보면,다양한 배경과 인종의 청년들을 병영이 아닌 기숙시설에 한 달간 함께 투숙시키면서 시민적 가치를 교육하고 신체를 단련한다는 내용이주를 이룬다.제안서에는 또한 사격 훈련 등 살상무기 사용법 교육은 일단 제외됐다.

이런 한 달간의 의무복무제 구상이 실제 시행으로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마크롱 대통령의 공약이기는 하지만 청년들의 반대 여론이 강하고 의회도 부정적이기 때문이다.

프랑스 하원은 지난 2월 보고서에서 "의무복무가 바람직하지도 가능하지도 않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하원은 1997∼2001년 사이 징병제를 완전히 폐지한 프랑스군에 대규모 인원을 수용할 능력이 부족한 데다 매년 24억∼31억 유로(최대 4조원 상당)의 예산 소요로 재정부담도 너무 크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