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대구경북에서 자유한국당 공천이 마무리되고 있지만, 공천 후유증이 심각한 수준이다. '역대 최악'이니 '공천(公薦) 아닌 사천(私薦)'이니 하면서 온갖 비판이 쏟아지는 데다, 공천 탈락자들이 대거 탈당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지역 여론은 싸늘하기 짝이 없다. 이렇게 공천에 파열음을 내고도, 한국당이 지역에서 세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 의문스러울 정도다.
한국당의 공천 과정은 국회의원의 탐욕과 잇속 차리기로 시작해 그것으로 끝났다. 미래가 불안한 초선 국회의원들이 무리하게 '자기 사람 심기'를 시도했는데도, 누구 하나 말리는 이가 없었다. 국회의원 자신과 친한 후보를 공천한 것은 물론이고, 조금이라도 꺼리는 후보를 배제하기 위해 혈안이 돼 있는 듯했다.
그 결과 기초단체장·지방의원으로서 역량이 의심되거나 범죄 경력이 의심되는 후보들이 대거 공천권을 따냈으니 기가 찬다. '전략공천'이라는 이름을 붙여놓고 국회의원 맘대로 공천을 한 것은 지역민을 우습게 여기는 것이나 다름없다.
모두가 공천 심사의 공정성을 믿지 않다 보니 결과에 승복하는 분위기는 아예 찾아볼 수 없다. 대구·경북에서 현직 시장·군수가 공천 탈락에 반발해 탈당·출마하는 수순을 밟고 있는 지역이 여러 곳이다. 현직 시장·군수, 유력 지방의원이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지역은 선거전이 치열할 수밖에 없고, 지역 공동체는 갈가리 찢겨 심각한 후유증을 겪기 마련이다.
한국당은 지방선거를 계기로 현재의 어려움에서 벗어나기 위한 노력은 하지 않고, 눈앞의 욕심에 매몰돼 추하고 어지러운 모습만 잔뜩 보여줬다. 대구경북의 중심 정치세력이 이런 꼴이라면 앞으로 무엇을 기대할 것인가. 지역에서 한국당의 미래는 너무나 불투명하다. 한참 반성해도 부족할 판에 잘못조차 깨닫지 못하고 있으니 그저 한숨만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