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국회 공전에 방치된 대구 물산업법, 정부도 관심 가져야

자유한국당 김성태 원내대표가 지난달 2일 대구 국회의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대구 물산업 사업을 촉진할 '물관리 기술개발 촉진 및 물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물기술산업법)의 4월 국회 중점 처리를 위한 여당과의 협상 약속이 결국 헛말로 끝났다. 한국당은 대구 의원들과 만난 뒤 곧장 소속 의원들에게 '상임위 의사일정 진행 보류' 지침을 내린 탓에 법안은 상임위 문턱조차 넘지 못했다. 또 국회 문마저 4월 내내 닫혔으니 김 대표의 약속은 그야말로 말뿐이었다.

남북 정상회담 개최로 나라 안팎의 훈풍 분위기와 달리 대구경북은 여러 현안들이 제대로 풀리지 않아 애를 먹고 있다. 특히 대구의 미래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는 물산업 관련 사업들이 그렇다. 대구에서는 오래전부터 다른 지자체에 앞서 물산업의 선도적인 역할을 위한 국제 행사 개최 등 여러 작업들을 추진했다. 지난해 1월 윤재옥 등 대구 의원을 중심으로 기존 물산업진흥법을 보완해 내놓은 물기술산업법도 그런 맥락이다.

대구로서는 국회 정상화가 늦어지면 법안 처리는 산 넘어 산이다. 그렇다고 그냥 있을 수는 없다. 마침 지난 2일, 전국 최대 독립유공자 묘지인 국립 신암선열공원의 개원식에 참석한 이낙연 국무총리에게 권영진 대구시장이 물기술산업법 제정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한 일은 마땅하다. 게다가 김은경 환경부장관은 대구 물산업에 부정적인데다 관련 예산 지원에도 소극적이어서 이런 정부 설득 노력은 더욱 필요하다.

정부도 이제 물산업 육성에 나서는 대구의 절박한 현실을 외면만 하지 말고 귀를 기울여야 한다. 이미 총리는 대구의 현안인 취수원 이전 갈등 해결을 약속했음에도 갈등은 여전해 실천 의지를 의심받고 있는 터이다. 그런 만큼 총리의 대구 물산업에 대한 관심과 법안 처리의 물꼬를 트는 역할이 기대된다. 지역 정치권도 5월 국회에서라도 존재감을 보여야 할 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