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을 계기로 쇄신에 나선 포털 업체 네이버가 9일 2차 개편안을 내놨다. 아웃링크(out-link'뉴스 클릭 시 해당 언론사 홈페이지로 연결되는 방식) 도입을 추진하는 것은 물론, 뉴스 편집에서 손을 떼고 본연의 기능인 검색 중심으로 개편하겠다고 밝혔다. 인공지능 뉴스 추천과 댓글 조작 감시 체제 강화 등의 방침도 밝혔다.
단순 댓글 수 제한 등 '땜질 처방'이라는 평가를 받은 지난달 25일 1차 개편 때와 비교해 진일보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가장 큰 요구를 받아 온 아웃링크에 대해서는 전면 도입이 아니라 개별 언론사와 협의해 결정하겠다는 미온적 입장을 밝혀 '미디어 권력을 유지하려는 꼼수'라는 비판이 터져 나오고 있다. 종합하면 이번 역시 '미봉책'이라는 평가다.
◆뉴스 편집 손 떼는 대신 인공지능으로 추천
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이날 오전 서울 네이버 파트너스퀘어 역삼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밝힌 개편안에 따르면, 네이버는 우선 모바일 첫 화면에서 뉴스를 완전히 뺀다. '구글'처럼 검색 위주로 전환한다는 것이다.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차트도 모바일 첫 화면에서 제외한다. 이에 따라 네이버 모바일 첫 화면은 '검색판'으로 개편된다. 한 대표는 "첫 화면에 뉴스가 집중적으로 배치된 점이 최근 불거진 댓글 문제의 근본 문제로 보고 이같이 전환한다"고 설명했다.
또 네이버는 올해 3분기부터 언론사가 직접 편집하는 '뉴스판'을 신설키로 했다. 모바일 첫 화면인 검색판을 옆으로 밀면 나오는 화면이다. 네이버는 여기서 발생하는 광고 이익은 수수료를 제외하고 언론사에 정상적으로 지급하기로 했다.
네이버는 대신 뉴스 추천 서비스인 '뉴스피드판'을 운영할 계획이다. 개인 관심사를 기반으로 네이버 인공지능(AI) 추천기술 '에어스'(AiRS)가 뉴스를 골라주는 방식이다. 이는 공교롭게도 8일(현지시간) 구글이 미국에서 개최한 '구글 I/O 2018' 콘퍼런스에서 밝힌 인공지능 기반 주요뉴스 추천과 비슷하다.
◆댓글 대책은 1차 개편보다 꼼꼼해져
네이버는 뉴스판과 뉴스피드판의 기사별 댓글 허용 여부 및 정렬 기준은 언론사가 직접 결정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 밖에 댓글과 관련해서는 소셜(SNS) 계정의 댓글 작성 제한, 동일 전화번호 가입 계정 통합 댓글 제한, 반복성 댓글 제한, 비행기 모드를 활용한 인터넷주소(IP) 변경 댓글 입력 제한 등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또 드루킹 사건으로 논란이 된 매크로(자동프로그램)에 대해 24시간 감시 체제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는 1차 개편과 비교하면 꽤 꼼꼼해진 대책들이다.
당장 6'13 지방선거 관련 뉴스에 달릴 댓글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도 한 대표는 "정치'선거 기사 댓글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해소되지 않은 상황임을 고려해 지방선거 기간 관련 기사 댓글은 최신순으로만 정렬하겠다. 또 사용자가 댓글 영역을 클릭했을 때만 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아웃링크 도입엔 미온적 입장, 정치권 "꼼수" 비판
그러나 네이버는 아웃링크 도입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면서도 "일괄적 도입은 어렵고 언론사와 개별 협의를 통해서"라고 전제를 달았다.
이에 대해 정치권은 즉각 비판에 나섰다. 이날 박성중 자유한국당 의원은 "어느 한 곳이라도 인링크(in-link'포털 안에서 기사를 보여주고 댓글을 달 수 있는 방식)를 고집하면 다른 언론사도 따라갈 가능성이 많다. 이를 교묘하게 이용하려는 네이버의 꼼수"라고 꼬집었다. 김경진 민주평화당 의원도 "구글과 같은 전면 아웃링크를 도입해야 미디어 독점을 분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방탄 유리막' 안에서 유세…대선 후보 최초
'TK 지지율' 김문수·이준석 연일 상승세…이재명은?
국힘 의원들 '뒷짐', 이미 끝난 대선?…"득표율 공천 반영 필요" 지적도
1차 토론 후 이재명 46.0% 김문수 41.6% '오차범위 내'
전한길 "은퇴 아닌 사실상 해고…'좌파 카르텔'로 슈퍼챗도 막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