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취수원 이전 문제 더 꼬이게 만든 환경부 장관

김은경 환경부 장관이 2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대구 취수원 이전은 합리성에 문제가 있다. (대구시가) 물을 정수해서 쓰는 법은 오히려 외면하고 있다”고 했다. 환경부 장관이 취수원 이전에 처음으로 부정적 입장을 밝힌 것이다. 김 장관 발언은 취수원 이전 문제를 더욱 꼬이게 한 것은 물론 대구 시민의 염원을 외면했다는 점에서 문제가 많다.

이낙연 국무총리를 비롯한 정부 인사들은 대구와 구미 간 중재를 통해 취수원 이전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기회가 있을 때마다 천명해왔다. 난데없이 김 장관이 낙동강 물이 불안하면 대구시가 정수 방안을 찾으라고 밝힌 것은 정부 방침과는 완전히 배치된다. 이 총리와 청와대와 미리 조율을 했는지 김 장관에게 묻지 않을 수 없다. 사전 논의 없이 발언했다면 김 장관이 책임져야 한다. 정부 방침이 달라진 것이라면 청와대와 국무총리, 정부 인사들은 대구 시민에게 설명하고 용서를 구해야 한다.

김 장관이 취수원 이전 대안으로 제시한 폐수 무방류시스템과 낙동강 수질 개선은 현실을 모르는 탁상공론에 불과하다. 폐수 무방류시스템은 단기적인 수돗물 개선 대책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구미산단에 이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언제 될는지 기약하기 어렵고 돈도 4천억원 이상 든다. 낙동강 수질 개선은 국가산업단지 재배치 등 정부 차원에서 총체적이고 장기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사업이다. 이와 달리 취수원 이전은 깨끗한 수돗물을 대구 시민에게 공급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다. 낙동강 수질 개선과 수돗물 공급 정책을 균형 맞춰 추진해야 한다는 대구시 주장이 훨씬 설득력이 있다.

정부의 물 관리 주무 부처 장관이 취수원 문제 해결에 앞장서기는커녕 얼토당토않은 말로 갈등을 부추겨서는 자질을 의심받을 소지가 크다. 취수원 이전이 가장 합리적인 방안인 만큼 이제부터라도 정부가 중재에 적극적으로 나서 이 문제를 푸는 게 맞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