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의 대북 제재 위반 논란을 빚고 있는 개성공단 내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곧 개소될 예정이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1일 청와대에서 열린 당정청 전원회의에서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이달 초 개소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 구체적 시점은 대북 특사단이 방북하는 오는 5일이 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최대의 관심사는 대북 제재 위반 논란이 해소됐느냐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는 지난 6~7월 연락사무소 개설을 준비 중인 남측 인력이 사용하는 것이라며 석유와 경유 80t(1억여원 상당)과 여러 대의 발전기를 북한으로 반출했다. 그뿐만 아니라 총 115t(10억원 상당)의 철강·구리·니켈·보일러 등도 북한으로 보냈다. 이들 모두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에 따라 북한 반입이 금지된 품목이다.
이를 두고 외교부는 대북 제재 목적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했지만, 미 국무부는 제재 여부를 분명히 들여다보겠다고 했다. 이후 지금까지 미국 정부 내에서 대북 제재에 위반되지 않는다거나, 예외로 인정할 수 있다는 소리는 나오지 않고 있다. 정 실장의 1일 발언에도 이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다. 문 정부의 ‘예외 인정’ 요청을 미국이 수용하지 않고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그렇다면 문 정부는 대북 제재 위반을 무릅쓰고 연락사무소 개설을 강행한다고 볼 수밖에 없다. 남북 경협이 북한 비핵화의 동력이라는, 미숙한 상황 판단 능력이 빚은 대북 제재 전선의 이탈이다. 북한을 비핵화 협상에 끌어낸 것은 남북 경협이 아니라 대북 제재가 아니었던가?
그런데도 문 정부의 공상(空想)은 갈수록 태산이다. 내년도 예산안에 ‘개성공단 사업 등 남북 경제협력’ 부문에 올해보다 무려 46%나 증액한 5천44억원을 배정했다. 북핵이란 현실은 견고한 대북 제재 유지를 요구하는데 문 정부는 ‘경협 대못’을 박겠다고 나선 형국이다. 이 중 또 어떤 사업이 대북 제재에 저촉될지 벌써부터 우려된다.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