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등 전국 주요 9개 신문사가 참여하는 한국지방신문협회는 지역 뉴스가 배제된 현재의 포털 뉴스서비스 폐해가 심각해짐에따라 오피니언 리더들의 릴레이 칼럼을 게재한다. 칼럼을 통해 네이버 등 인터넷 포털의 뉴스 서비스 실태를 짚고, 지역 언론과의 상생 방안을 모색해본다.
지역언론이 위기다. 위기론은 어제 오늘의 애기가 아니다. 이 때문에 지난 4월 여야의원 13명의 공동서명을 받아 일명 '네이버-지역언론 상생법'을 대표발의했다.
이 법안의 요지는 국민 대다수가 매일 이용하고 있는 네이버 등 포털의 첫화면에 일정비율 이상으로 지역언론 기사반영을 의무화하는 것이다. 포털에 노출되는 뉴스가 중앙언론에 집중돼 있는 불균형과 차별을 개선해야 지역언론이 살 수 있는 길이 열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10년간 다양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지역언론에 대한 차별은 극복되지 못했다. 그 이유는 국민들이 지역언론의 기사를 외면해왔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독자들은 왜 지역언론의 뉴스를 외면하는 것일까? 일부에서는 중앙언론과 지역언론의 기사의 질을 얘기한다.
하지만 이는 핵심을 빗겨간 지적이다. 지역언론의 뉴스는 종이신문으로 소비되는 비율은 낮지만, 포털을 통해 많은 독자들이 읽고 있다. 특히 지역을 특화한 지역언론의 기사들, 예를들어 맛집이나 추천여행지 등에 대한 컨텐츠를 이용하는 비중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기사나 컨텐츠는 중앙언론 보다는 지역언론이 더 경쟁력이 있다.
현재 뉴스 소비의 주류는 포털이다. 가장 많은 국민들이 포털을 통해 뉴스를 소비하고 있다. 그러나 포털에서 지역언론의 기사나 뉴스를 쉽게 찾고 접할 수 있는 기회가 구조적으로 박탈되어 있다.
이는 뉴스시장의 지배적 지위에 있는 포털에게 많은 책임이 있다. 그동안 포털사는 지역언론의 뉴스를 노출해달라는 지역언론사들의 요구에 대해 기술적 문제나 시장성 등을 들어 외면해왔다.
우리 국민 90%가 사용하는 네이버와 다음 등 포털 메인화면은 뉴스로 시작된다. 이러한 뉴스 서비스를 통해 포털은 엄청난 부를 축적했다. 하지만 포털은 전체 지역언론의 매출을 합한 것보다 더 많은 돈을 벌지만 지역뉴스에 대해선 1원도 쓰지 않는다.
포털 메인화면에 지역언론의 뉴스가 거의 노출되지 않고 중앙언론 기사 일색인데 이는 중앙언론과 지방언론간 심각한 불평등을 야기한다. 또한 국민들에게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문제에 대한 관심을 외면하게 만든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역의제는 축소되고, 생활정치와 지방자치의 핵심기반은 붕괴된다.
이런 문제 해결의 유력한 해법은 포털이 지역언론의 기사를 일정비율 이상 의무적으로 게재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지역뉴스가 뉴스 소비자에게 전달·소비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를 통해 지역언론이 활성화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기술적으로도 어렵지 않다. 경제적 부담을 주는 것도 아니다. 정부도 문제의 심각성을 느끼고 있다. 포털이나 정부의 의지만 있다면 가능하다.
지금은 포털시대이다. 포털이라는 인터넷 공간에는 중앙과 지방이 있을 수 없다. 차별이 없어야 한다. 하지만 지금 포털에는 차별이 심하다. 이는 뉴스공급자인 포털에게도, 뉴스생산자인 지역언론에게도, 뉴스 소비자인 국민에게도 상호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제라도 '포털-지역언론-국민' 모두가 상생하는 길을 열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