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고가아파트와 저가아파트의 가격 차가 7년여 만에 최대치로 벌어졌다.
대구를 비롯한 전국 광역시와 경기도의 고가아파트 가격이 저가보다 많이 오르면서 양극화가 심화한 것이다.
반면 정부 9·13부동산 대책의 집중 타깃이 된 서울은 강남권 고가아파트 가격이 약세를 보이면서 저가·고가 가격 차이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4일 국민은행의 부동산 플랫폼 'KB부동산 리브온'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5분위 배율은 6.0으로, 2011년 8월(6.0) 이후 7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전국의 주택 5분위 배율은 주택을 가격순으로 5등분해 상위 20%(5분위) 평균 가격을 하위 20%(1분위) 평균으로 나눈 값이다. 고가주택과 저가주택 간의 가격 격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배율이 높을수록 가격 차가 심하다는 의미다.
지난달 전국의 1분위 아파트 평균 가격은 1억1천529만원으로 전월(1억1천590만원) 대비 61만원 내린 반면 5분위 고가아파트 평균 가격은 6억9천414만원으로 9월(6억7천180만원)보다 2천234만원 올랐다.
이에 따라 전국 아파트 5분위 배율은 지난 9월 5.8에서 10월에 들어 6.0으로 커졌다. 1분위 저가 아파트와 5분위 고가아파트 격차가 각각 5.8배에서 6배로 커졌다는 뜻이다.
최근 집값이 상승세를 보이는 대구를 비롯한 광주·대전 등 광역시의 고가주택 가격이 강세를 보인 영향이 크다.
대구지역 1분위 아파트값(평균 1억2천2만원)은 전월과 같은 수준이지만, 수성구 일대 아파트값 강세로 5분위 가격(5억816만원)은 9월보다 159만원 상승했다.
이에 비해 9·13대책의 직접 영향권인 서울 아파트 5분위 배율은 9월 5.0에서 지난달엔 4.8로 내려왔다.
고가 재건축 단지의 급매물이 늘고 호가가 하락하는 등 강남권 아파트값이 약세로 돌아선 반면, 실수요자 중심의 강북 저가주택은 대책의 영향을 덜 받은 것이다.
전국의 주택 종합 5분위 배율은 아파트보다 격차가 더 커 지난 9월 6.1배에서 10월에는 6.3배로 벌어졌다. 역시 2011년 8월(6.3) 이후 최대치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집값이 서울-지방 양극화에서 지방 내에서도 가격 격차가 심해지는 다극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대책으로 규제가 없는 지방 주택시장에 투자금이 몰릴 경우 지방 내 양극화는 심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