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당, 내달 당헌·당규특위 가동…전당대회 판짜기 돌입

당 지도체제에 관심…김용태 "가급적이면 그대로 할 것"
당원권 정지 규정·책임당원 자격 요건 정비할 듯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 김성태 원내대표, 김용태 사무총장 등이 22일 국회에서 열리는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회의장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 김성태 원내대표, 김용태 사무총장 등이 22일 국회에서 열리는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회의장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이 내달 초 당헌·당규개정위원회를 가동하고 새 지도부 선출 판짜기에 들어간다.

25일 김용태 한국당 사무총장은 "12월 초에 곧바로 당헌·당규개정위원회가 출범한다.당헌·당규개정위는 한 달 동안 활동할 방침이다"라고 밝혔다. 위원장은 김 총장이 맡고, 김성원 조직부총장, 김석기 사무부총장,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이 추천한 인사와 당내 법조인 출신 의원 등이 위원회에 참가한다.

위원회가 만든 당헌·당규 개정안은 전국위원회 의결 등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당헌·당규에는 지도부의 체제와 전당대회 규정 등이 포함돼 있어, 이 작업의 핵심은 새 지도부 체제 및 선출방식, 이른바 '전대 룰'을 정하는 일이 될 전망이다. 개정 작업을 통해 앞으로 새로운 지도부를 어떤 체제로 운영할지, 내년 2월 전당대회를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 가닥이 잡힌다.

현재 한국당은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서 선출하고, 대표가 의사결정 과정에서 강력한 권한을 행사하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를 택하고 있다. 지난 2016년 총선에서 패한 뒤 같은 해 7월 당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자 이를 도입했다.

그러나 최근 순수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홍준표 전 대표 체제 당시 당이 독단적으로 운영되는 단점이 있다고 비판을 받았기 때문이다. 순수 집단지도체제는 전당대회 1위 후보자가 대표 최고위원, 뒷순위 후보자들이 최고위원을 맡아 '합의제'로 의사결정을 하는 형태이다.

일각에서는 대표에게 상당한 권한을 부여하고, 최고위원들이 권한 남용을 견제하는 '절충형'을 택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현재 지도부는 당권 주자들의 이해관계가 저마다 다를 수 있어 전대 룰을 손보는 것에 조심스러운 분위기이다. 불필요한 시빗거리를 만들 필요가 없다는 것.

이와관련, 김 총장은 "전대 규정은 가급적이면 그냥 가려고 한다"고 했다.

'당원권 정지' 관련 규정을 어떻게 정비할지도 관심이다. 당내에는 검찰 기소와 동시에 당원권을 정지하는 윤리위원회 규정이 과도한 것 아니냐는 시각이 있다. 또 현재 재판을 받는 일부 의원들에 '당원권 정지'가 이뤄지지 않은 것도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온다.

당은 주무 부서인 윤리위원회의 안을 받아 당원권 정지 규정 관련 최종 입장을 정리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지난해 7월 진입장벽을 낮추는 차원에서 만들어진 3개월 동안 매달 1천원을 내면 책임당원으로 인정해주는 당원 자격 관련 요건도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야당이 되면서 어려워진 재정 상황을 타개하고자 전처럼 6개월 동안 매달 2천원을 내는 쪽으로 바뀔 가능성이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