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문 대통령, 지지도 급락 이유 스스로 깊이 성찰해야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도가 속절없이 추락하고 있다. 여론조사 기관 리얼미터의 지난 26∼28일 조사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한 긍정평가는 전주보다 3.2%포인트(p) 내린 48.8%(부정평가는 45.8%)로 취임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문 대통령에게 이 수치보다 더 암울한 사실은 지지도가 9주 연속 하락했다는 점이다. 추세적 하락에 접어들었을 수도 있다는 얘기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의 격차가 3.0%p로 오차범위(±2.5%p) 이내라는 것도 문 대통령에겐 뼈아프다. 이는 긍정평가와 부정평가가 엇갈리는 '데드 크로스'가 바로 앞으로 다가왔다는 것을 뜻한다.

집권 초반 70∼80%를 달렸던 지지율이 왜 이렇게 추락했는지 문 대통령은 자문해봐야 한다. 인정하기 싫겠지만 나만 옳다는 아집에 사로잡혀 모두가 아니라는 경제안보 정책을 고수해왔기 때문이다. 소득 격차는 사상 최악으로 벌어지고 취약계층의 일자리는 격감하고 있다. 서민을 위한 정부에서 벌어진 참사다. 소득주도성장이라는 공상적 정책의 결과다.

대북정책의 성적도 참담하긴 마찬가지다. 북한 핵 문제의 해결은 지지부진이다. 그런데도 문 정부는 자발적 무장해제라는 비판을 받는 남북 군사합의에다 한미 연합훈련의 취소·연기·축소로 안보에 구멍을 내고 있다. 반면 북한 비핵화와 보조를 맞춰야 한다는 미국 입장과 국내 여론을 무시하고 남북관계 개선에 과속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지지율 추락이 이런 잘못된 정책 기조를 전면 수정하라는 경고로 읽어야 한다. 그동안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하락하다가도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으로 반전되곤 했다. 북핵 문제에 결정적 진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냉정한 현실임을 감안하면 이런 일회성 이벤트가 지지율을 떠받치는 패턴은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이제는 진짜 실력으로 국민의 평가를 받아야할 단계가 된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