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슈퍼갑 환경부에 눈치보기 급급한 대구시와 수자원공사

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30일 오전 낙동강 유역 물 관리 현장점검 차원에서 경남 창녕함안보를 방문해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30일 오전 낙동강 유역 물 관리 현장점검 차원에서 경남 창녕함안보를 방문해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위탁기관 선정 의혹에 대한 감사원 감사에 대해 정작 이해가 얽혀 있는 대구시와 한국수자원공사는 속만 끓이고 있다.

두 기관은 환경부가 국가물산업클러스터를 주관하는 '슈퍼갑'이라 환경부 눈치만 살피며 득실을 따지지조차 못하고, 부당한 결정과정을 묵과할 수밖에 없는 처지다.

대구시는 물산업클러스터의 성공적인 운영과 물기술인증원 유치를 위해 환경부에 자체 의견을 피력하기 보다는 눈치보기에 급급한 데다, 지난 6월 환경부 산하로 이관된 수자원공사 역시 상부 기관을 상대로 힘겨루기를 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환경부 감사 문제는 국회 차원에서 진행되는 일로 지자체가 언급할 일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속내를 살펴보면 물 관련 사업에 대한 경험과 네트워크가 풍부하고 영향력이 좀 더 큰 기관이 선정되는 것이 대구시 입장에서는 유리하다. 그러나 물클러스터 위탁기관 선정 과정에서 불거진 문제는 대구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어느 기관이 물클러스터 운영기관으로 선정되든 앞으로 물클러스터를 최대한 잘 끌어가는데 손발을 잘 맞추는 것이 최우선 목표라며 말을 아끼고 있다.

특히 대구가 유치를 추진하고 있는 물기술인증원 입지 선정을 환경부가 담당하고 있다보니, 환경부의 심기를 거스를 만한 행동은 더더욱 조심해야 한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물산업클러스터가 대구 달성군에 들어서 있는만큼 대구시도 관계기관에 해당하지만, 위탁기관 선정과정에서 참관인 자격으로 단 한차례도 참석하지 못한 것은 물론 배제되다시피했다.

'다 잡은 물고기'를 놓친 수자원공사 입장에서는 억울해 하면서도 어디에 하소연조차 할 수 없는 형편이다. 올해 6월 물관리 일원화를 위한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환경부·국토부·산업통상자원부 등으로 나뉘어 있던 물관리 기능이 환경부로 통합되면서 국토부 산하기관이던 수자원공사가 환경부로 이관됐기 때문이다.

물산업클러스터 운영을 맡을 것으로 예상했던 수자원공사는 환경부 산하기관끼리의 집안싸움으로 비춰질까봐 목소리를 제대로 내지 못한 채 속만 태우고 있다.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도 수자원공사가 월등히 뛰어난데다, 심사 당일 평가방식 변경과 감점조치 누락만 아니었더라면 한국환경공단에 물산업클러스터 운영권을 뺏기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환경부가 수자원공사의'상전'이 되면서 시시비비를 따지지 못하는 처지에 놓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