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군이 서정길 달성문화재단 대표의 겸임 및 수당 부정 수령 등을 둘러싸고 시끄럽다. 군의회는 서 대표가 달성복지재단 이사장까지 겸임하면서 수당 등을 따로 챙겨왔다며 사퇴를 요구했다. 잘못했다면 물러나는 것은 당연하다. 문제는 임명권자인 김문오 군수다. 이번 사태가 지난 6월 지방선거 후 논공행상 과정에서 불거진 일이기에 김 군수의 책임이 적지 않다.
군의회가 서 대표에 대한 문제점을 발견한 것은 행정사무 감사를 통해서다. 서 대표는 2015년 달성복지재단 이사장에 임명돼 업무를 수행하다가 지난 8월부터 달성문화재단 대표까지 겸직했다. 서 대표가 문화재단의 월급·수당 외에도 복지재단의 업무추진비 등으로 매월 200여만원을 이중으로 챙겼다니 그야말로 비도덕적이다.
서 대표의 해명 또한 의구심을 자아낸다. 서 대표는 "수당이 통장에 들어왔는지 몰랐고, 통장을 확인하지 않아 일어난 문제"라고 했지만, 일반의 상식으로는 이해하기 어렵다. 서 대표는 대구시청 과장, 달성군 국장 등을 지낸 퇴직 공무원 출신으로 복지·문화의 비전문가임에도 달성군에서 승승장구했다.
김 군수가 서 대표를 얼마나 아꼈기에 누구나 탐내는 산하 기관장 자리를 맡겼는지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 달성군청 주변에서는 서 대표가 김 군수의 당선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어서 중용됐을 것이라고 한다. 자신의 선거를 도왔다는 이유만으로 산하 기관장 자리 2개를 겸직하게 해 이런 말썽을 불러올 정도라면 김 군수의 용인술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김 군수가 지난 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힘겹게 승리해 선거 참모들에 대한 포상을 중요하게 생각했을 수 있다. 아무리 논공행상이 필요하다고 해도, 개인적인 보답보다는 군민을 위한 서비스를 먼저 고려하는 것이 옳았다. 김 군수는 이번 사태를 교훈 삼아 3선 군수로서 마무리를 잘하길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정진호의 每日來日] 한 민족주의와 두 국가주의, 트럼프 2기의 협상카드는?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이재명 "공평한 선거운동 보장", 조희대 탄핵 검토는 "당 판단 존중"
김문수-지도부, 단일화 사분오열…국힘, 대선 포기했나
홍준표, 尹·한덕수 맹공 "김문수 밀어줘 나 떨어트리더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