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지자체 청렴도 바닥

경주시, 구미시, 문경시, 영천시, 봉화군, 울릉군, 대구 북구가 국민권익위원회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에서 기초자치단체 부문 최하위 등급인 5등급을 받았다.

공직유관단체에서는 한국장학재단, 경북도개발공사가 역시 5등급의 불명예를 안았다.

반면 한국수력원자력(주), 한국감정원은 공직유관단체 최우수 등급인 1등급에 랭크됐다.

이는 국민권익위원회가 5일 발표한 612개 공공기관에 대한 '2018년 청렴도 측정결과'에 따른 대구경북 공공기관의 성적표다. 권익위는 기관 정원 등을 고려해 14개 유형을 나눈 뒤 각각의 유형에서 종합청렴도 점수에 따라 1∼5등급을 부여했다.

이에 따르면 대구경북 광역·기초단체 중 1등급은 없다. 광역자치단체 중에서는 부산시가, 기초단체 중에서는 사천시·창원시·광양시, 예산군·음성군이 1등급의 영예를 안았다.

다만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난해보다는 약진했다. 대구시는 지난해 4등급에서 올해는 3등급으로, 경북도는 5등급에서 3등급으로 상승했다.

시·도교육청은 반대다. 대구시교육청은 2등급에서 3등급으로, 경북도교육청도 1등급 하락한 3등급을 받았다.

전체 공공기관의 종합청렴도는 10점 만점에 평균 8.12점으로, 지난해 7.94점보다 0.18점 올랐고, 2016년(7.85점)부터 2년 연속 상승했다고 권익위는 밝혔다.

기관유형별 종합청렴도는 공직유관단체(8.40점), 중앙행정기관(8.17점), 교육청(7.94점), 기초자치단체(7.88점), 광역자치단체(7.64점) 순이었고, 광역단체를 제외한 모든 유형의 종합청렴도가 작년보다 상승했다.

한편 부패사건으로 감점을 받은 기관은 지난해 202개 기관(488건)에서 올해 199개 기관(624건)으로 기관 수는 줄었지만, 사건 수는 증가했다.

부패사건 유형별로는 행정기관의 경우 금품수수(25.8%), 공용물 사적이용(20.9%), 공금횡령·유용(19.2%, 105건) 순으로 많았다.

권익위는 8∼11월 민원인 15만2천여명과 소속 직원 6만3천여명을 포함한 23만6천여명을 대상으로 유무선 전화, 이메일, 모바일 등을 통해 공공기관에 대한 청렴도 조사를 했다.

평가 대상기관은 중앙행정기관 44개, 지방자치단체 243개, 교육청·교육지원청 90개, 공직유관단체 235개 등 612개 기관이다.

종합청렴도는 외부청렴도, 내부청렴도, 정책고객평가 점수를 가중 평균한 뒤 부패사건 발생 현황 및 신뢰도 저해행위 감점을 반영해 산출했다.

권익위는 작년까지는 기관별 점수도 공개했지만, 올해부터는 등급만 발표하고 점수는 해당 기관에만 제공하기로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