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한 지 20년이 넘은 지역난방용 열 수송관이 대구시내에만도 4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일 경기도 고양시에서 발생한 열 수송관 파열 사고의 원인이 낡은 배관의 용접 부위가 높은 압력을 이기지 못해 터진 것으로 드러나면서 대구시내 열 수송관 실태에 관한 시민의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이번 사고로 1명이 숨지고 40여 명이 화상을 입는 등 참사가 벌어졌다.
한국지역난방공사는 1997년 달서구 대천동 성서산업단지 내 열병합발전소를 준공해 현재 달서구와 달성군, 서구 일대 모두 10만6천여 가구에 온수를 공급 중이다. 최근 공사가 국회에 제출한 '장기 사용 배관 현황'을 보면 대구시내 열 수송관은 모두 131㎞다. 이 가운데 전체의 34%에 달하는 45㎞가 설치한 지 20년이 넘은 노후 배관으로 확인됐다.
오래된 배관이라고 해서 모두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평소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고양시 사례에서 보듯 언제든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정밀 점검과 수시 교체 등 철저한 예방 노력을 기울여야 불상사를 막을 수 있다는 소리다.
지역난방공사는 열 수송관의 내구연한을 40~50년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이번 고양시 사고는 이런 예상을 한참 빗나갔다. 고양·분당 등 수도권 신도시의 지역난방용 열 수송관이 처음 설치된 게 1991년이다. 초기에 매설한 배관이라도 아직 30년이 안 된다. 대구시내의 열 수송관과 비교해봐도 몇 년밖에 차이가 없다.
공사 측이 이런 내구연한만 믿고 평소 점검과 교체를 게을리한 것은 아닌지 철저히 따지고 책임을 엄히 물어야 한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통신구나 도시가스관, 열 수송관 등 각종 지하 시설물의 관리와 책임 소재를 명확히 가려 시민 안전에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 관리가 제대로 안 돼 부실한 지하 인프라 시설 때문에 날벼락을 맞거나 불안에 떠는 일은 없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