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연구원이 신청사를 2021년까지 준공한다는 구상을 지난달 출연기관인 대구시와 경북도에 전했다. 연구원은 공사비 436억원 중 청사 및 재단 기금 115억원을 들이고 나머지 321억원은 시·도 출연금 등으로 할 모양이다. 하지만 지원에 나서야 할 시·도가 난색을 표하고 있다.
연구원의 청사 건립 구상은 이해할 만하다. 지난 1991년 출범 뒤 셋방살이를 하고 있어서다. 지난해 12월 옮긴 현재 사무소까지 5차례나 이사를 했으니 업무 차질과 불편이 없을 수 없다. 게다가 전국 14개 지방자치단체 출연 연구기관 가운데 독립 건물 대신 민간 임대 운영은 대구경북연구원뿐이니 더욱 그럴 것이다.
하지만 해마다 지원하는 시·도의 입장도 있다. 첫 출발 때와 달리 규모가 커진 탓에 지원금도 늘었다. 2001년 2억원의 시·도 부담금이 이젠 매년 60억~70억원에 이른다. 그런데 청사 건립이 추진되면 연구원 추산 전체 사업비 상당을 맡아야 해 또 다른 부담일 터이다.
연구원에 대한 따가운 시선도 있다. 셋방살이 속 해마다 200건 안팎의 과제로 지역 발전에 기여한 일은 분명 평가해야 한다. 그러나 양만큼 연구의 질도 따지지 않을 수 없는데, 불만의 시선도 적지 않다. 지방의회가 지원 예산을 두고 삭감 소동을 되풀이할 정도다.
시도의 앞으로 살림살이도 알 수 없다. 정치적인 까닭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비수도권 지자체가 겪는 어려움을 감안하더라도 대구경북은 정도가 더욱 심한 형편임을 연구원도 알 것이다. 번듯한 건물도 필요하겠지만 현재로서는 적절치 않은 셈이다.
지금은 지역 발전을 이끌 연구에 매진할 때다. 연구 성과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없앨 노력이 먼저다. 근무 공간도 청사 건립보다 기존 건물 활용 등 대안에 관심을 두는 일이 바람직하다. 청사 문제로 시·도와의 대립은 현명하지도, 도움되지도 않는 일이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