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희들은 청렴하게 살거라!'
경북 예천이 고향인 류우순(86) 할머니가 50여 년 전, 고향 초등학교 앞에서 가게를 하며 한 초교생의 학용품값 500원의 거스름돈을 주지 않은 것을 후회하며 뒤늦게 그 학생을 찾아 사과하려는 사연을 '야고부'에 소개(본지 10월 29일 자)했다. 그 인연으로 지난달 할머니의 '평생일기'를 아들 정완영 부경대 교수로부터 받았다.
할머니가 평생 쓴 일기를 2012년 책으로 엮은 자서전인 셈이다. 하지만 책을 보니 아들의 고민이 컸음을 짐작할 만한 내용이 숱했다. 집안의 아픈 상처나 감추고 싶은 일이 수두룩해서다. 그러나 정 교수는 '한 번은 정리하고 가야 한다'는 어머니 뜻을 차마 거스르지 못해 그대로 옮겼다고 한다.
그런데 할머니의 책 마지막 부분이 돋보였다. 마치 결론처럼 실은 가훈으로, 스스로 배운 서예 실력으로 적은 가훈은 한자로 된 '청렴'(淸廉)이었다. 서애 류성룡의 후손이란 자긍심에다 사별한 교사 남편에 이어 5남매 자녀 가족이 초·중·고·대학교에 몸을 담은 탓인지 청렴 두 글자가 책의 마지막을 장식했다.
류 할머니의 가훈 '청렴'이 돋보이는 까닭은 '정신수도'를 외치던 경북 안동시청이나 안동·예천에 걸쳐 둥지를 튼 경북도청 주변에서 일어난 여러 일들이 세상 사람 입방아에 오르내려서다. 안동시청 공직자 비리 소식은 어제오늘의 일만은 아니지만 지난 세월을 돌아보면 그 상위 기관들의 실망스러운 행태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런 탓인지 이철우 도지사 취임 뒤 옛 모습을 바꾸는 작업이 한창이다. 5천만원 상당의 값이 나간다는 돌에 새겨진 '사람 중심'이란 도청 입구 글귀 교체나 해마다 2천500만원 넘는 관리비로 골머리였던 높이 30~33m 높이의 5개 깃발 게양대 철거도 그렇다. 대대적인 사람 교체도 곧 있을 모양이다.
이런 흐름이 경북도의 거듭나기로 이어지길 바란다. 특히 청렴도 평가에서 마침 올해는 중간 성적이었지만, 만년 하위에 맴돌던 과거를 정리하고 부패를 막는 계기로 삼으면 금상첨화이겠다. 류 할머니가 옛일을 잊지 않도록 일기를 책으로 남기고, 자녀들에게 청렴을 가훈으로 남겼듯이 말이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