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당 비대위 인적쇄신 수위, 국민 기대에 못미처

대구경북 사실상 인적쇄신 흔적 없어, 지방선거 결과 반영 안 된 듯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이 1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가운데는 나경원 신임 원내대표.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이 1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가운데는 나경원 신임 원내대표.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지난 15일 현역 국회의원 112명 가운데 21명의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당협위원장) 직을 박탈하는 내용의 인적쇄신안을 발표했지만, 평가는 엇갈린다.

당내 기반이 전혀 없는 비대위가 나름대로 짜임새 있는 활동으로 당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었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지만, 비대위 출범 목적인 혁신은 오간 데 없고 현상유지에만 급급한 결과물을 내놨다는 혹평도 나온다.

한국당 관계자는 "비대위 출범 이후에도 계파 갈등이 여전했고 차기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까지 예정돼 있던 터라 비대위에 힘이 실리기 힘든 상황이었는데도 나름의 결과물을 내놓은 것에 대해서는 칭찬할 수 있다"면서도 "비대위가 비대위 출범 이유였던 지방선거 참패의 원인을 제대로 수술했는지에 대해서는 고개를 끄덕이기 힘들다"고 말했다.

인적쇄신 폭이 국민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한국당이 지방선거 전과 뭐가 달라졌냐?'는 물음에 딱히 내놓을 답이 없다는 질책이 잇따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친박계와 비박계 중진 몇 명을 출당시키는 것도 아니고 당협위원장 자리에서 밀어내는 수준의 인적 쇄신을 할거였으면 굳이 비대위까지 꾸릴 필요가 있었느냐"며 "당의 중증을 수술하는 '비대위'가 아니라 현상유지를 위한 '법정관리위원회'가 활동한 것 같다"고 꼬집었다.

15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자유한국당 비대위회의에 참석하기위해 자유한국당 김용태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장(오른쪽)과 이진곤 조강특위 외부위원이 회의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15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자유한국당 비대위회의에 참석하기위해 자유한국당 김용태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장(오른쪽)과 이진곤 조강특위 외부위원이 회의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특히, 대구경북의 인적쇄신 결과를 두고 선 더욱 날 선 비판이 쏟아진다. 송사로 의원직 상실 위기에 몰린 의원 3명(최경환, 김재원, 이완영)과 차기 총선 불출마 의사를 비친 의원 1명(정종섭)을 제외하면 이번 한국당의 인적 쇄신을 통해 지역에 새바람이 불 지역은 1곳(대구 중남구)에 불과하다. 대구 중남구에서 재선의원이 좀처럼 나오지 않은 '특수성'까지 고려하면 사실상 비대위는 이번에 대구경북에 아무런 손도 대지 않은 셈이다.

지역정치권 관계자는 "지방선거 참패 후 당이 사경을 헤맬 때 구성된 비대위가 지방선거 결과를 인적 쇄신에 반영하지 않은 것 같다"며 "비대위까지 대구경북을 향해 은연중에 '우리가 남이냐'를 외친 것은 아닌지 아쉬움이 크다"고 말했다.

지난 6월 지방선거 당시 구미에선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시장에 당선됐고 대구 달성군과 안동, 영천, 봉화, 울진 등 지역 곳곳에서 무소속 기초자치단체장 후보가 한국당 후보를 이기는 이변이 연출되기도 했다.

비대위 관계자는 이 같은 지적에 대해 "조강특위가 각 지역의 사정을 최대한 살피고 분석한 뒤 종합적으로 평가해 내린 결론"이라며 "비대위 최종 논의과정에서 인적쇄신 폭이 다소 조정된 탓에 국민의 눈높이에는 차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