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공립대 청렴도…서울대·경북대·부산대 등 6개大 최하등급

권익위 국공립대 조사…안동대·금오공대 2등급, 대구경북과학기술원 4등급
공공의료기관 청렴도선 부산·전남·전북대병원 최하 5등급

경북대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국공립대 청렴도 조사 결과에서 최하등급인 5등급을 기록했다. 안동대와 금오공대는 지난해와 같은 2등급을 유지했고,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은 올해 두 등급이나 떨어져 4등급을 받았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전국 47개 국공립대학교(4년제 대학 36개, 교대·폴리텍대학 11개)의 2018년도 청렴도 측정 결과를 20일 공개했다.

권익위는 구매·용역·공사 등 계약 상대방 및 입찰 참가자 5천57명, 해당 학교에 근무하는 교수·강사·직원·대학원생 8천543명 등 모두 1만3천6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했다. 아울러 부패행위로 징계 등 처분을 받은 공직자의 직위와 금액, 기관 정원 등을 반영해 등급을 매겼다.

4년제 대학 중 한국전통문화대학교가 이번 조사에서 유일하게 1등급을 기록했다.

2등급에는 금오공과대, 안동대 등 전국 11개 학교가 포함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은 지난해보다 2단계 떨어진 4등급으로 내려앉았고, 5등급에는 경북대를 포함해 서울대, 부산대, 전북대, 광주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 등 6개 학교가 속했다. 경북대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최하위다.

교대·폴리텍대학 중에는 1등급이 없었고, 공주교대, 대구교대, 춘천교대, 한국폴리텍대가 2등급에 포함됐다.

전체 47개 국공립대의 청렴도는 10점 만점에 7.68점으로 2016년(5.92점)과 2017년(6.53점)과 비교해 지속해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계약분야 청렴도는 9.19점으로 지난해보다 1.24점이 올랐다.

권익위는 이날 46개 공공의료기관(국립병원 16개, 의료원 30개)의 종합청렴도 측정 결과도 함께 발표했다.

공공의료기관 청렴도는 의약품·의료기기 판매업체와 환자 보호자, 직원 등 1만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리베이트 등 부패사건 발생현황, 진료비 과다 청구 내역 등을 점수화해 측정됐다.

공공의료기관 평균 종합청렴도는 10점 만점에 평균 7.51점으로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8.12점에 비해 저조한 수준을 나타냈다. 지난해 7.64점과 비교해서도 하락한 수치다.

16개 국립병원 중 1등급은 없었고, 강릉원주대치과가 유일하게 2등급에 속했다. 경북대병원은 지난해 5등급에서 한 등급 오른 4등급에 경북대치과와 함께 이름을 올렸다.

부산대치과, 서울대치과, 제주대병원이 3등급을 기록한 가운데 부산대병원, 전남대병원, 전북대병원은 최하인 5등급에 이름을 올렸다.

30개 의료원 중에서는 포항의료원이 1등급을 기록했고, 김천의료원·대구의료원·안동의료원은 2등급이었다. 울진군의료원은 4등급에 머물렀고, 국립중앙의료원은 유일하게 5등급을 기록했다.

국민권익위 관계자는 "국공립대 청렴도 점수가 크게 향상된 점은 의미가 있다"며 "공공의료기관 청렴도 하위기관에 대해서는 부패방지 시책평가 및 청렴 컨설팅 기관에 포함해 청렴도 향상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