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덕버스, 이번에는 안전 논란

한해 17억여원 보조금 받고도 브레이크 무자격 정비에 블랙박스 미설치나 고장
전 노조위원장 지난 2월 부적정 지출 2억원 고발 이어 이번엔 안전문제 진정
회사 측 "중요한 정비는 큰 공장에서 했다" 영덕군 "조사 후 조치 하겠다"

영덕버스가 지난해 버스의 하체 브레이크를 영덕터미널 주차장에서 정비하고 있는 모습. 이에 대해 이 회사 전 노조위원장은
영덕버스가 지난해 버스의 하체 브레이크를 영덕터미널 주차장에서 정비하고 있는 모습. 이에 대해 이 회사 전 노조위원장은 '무자격 정비 의혹이 짙다'고 주장하고 있다. 영덕버스 전 노조위원장 제공

영덕군으로부터 한해 17억원이 넘는 보조금을 지원받는 영덕버스가 부적절한 보조금 지출(회계 부적정) 의혹(매일신문 4월 18일 자 1, 3면)에 이어 이번엔 안전 불감증 논란에 휩싸였다.

영덕버스 전 노조위원장 A씨가 이달 20일 영덕군에 제출한 진정서에 따르면 영덕버스가 무자격자의 차량 정비, 블랙박스로 불리는 자동차운행기록장치 미설치 등 안전을 소홀히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진정서에는 지난해까지 십 수년 간 정식 버스정비창고도 없이 무자격 정비사에게 경정비부터 승객의 안전과 직결되는 버스 하체 브레이크 정비까지 하게 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지난 2011년부터 의무적으로 장착하도록 돼 있는 자동차운행기록장치(블랙박스)도 절반 정도가 설치돼 있지 않거나 고장난 상태라고 밝혔다. 또 운수종사자에게 필수적인 안전띠 착용 교육도 하지 않았고 버스에 운행기록증도 비치하지 않았다는 것.

특히 무자격자의 정비로 인해 버스가 제대로 운행되지 못하고 결행한 적도 있고, 브레이크가 밀려 운행할 때 사고 우려가 제기된 적도 있다고 진정서에서 주장했다.

A씨는 "영덕버스가 사실상 보조금에 의존하고 있으면서도 안전 조치에는 보조금을 제대로 쓰고 있지 않다"며 "담당 공무원들도 문제점을 알고 있지만 대부분 1년마다 바뀌다 보니 쉬쉬하며 지내온 세월이 벌써 20년 가까이 된다. 곪을 대로 곪았다"고 했다.

또 "수사기관이나 행정기관이 버스 문제에 너무 소극적인 것 같아 보조금 횡령 고발에 이어 추가적으로 진정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영덕버스 관계자는 "재정이 열악해 블랙박스도 제대로 달지 못하고 정비창도 마련하지 못했다"며 "사소한 경정비는 직접 했지만 (중요해서 직접) 할 수 없는 정비는 포항 등지의 큰 정비공장에서 했다"고 해명했다.

영덕군은 "조사 후 조치할 예정이다"고 했다.

앞서 영덕버스는 지난해 영덕군으로부터 2016년 1년 치 회계감사를 받은 결과 회계 부적정 지출로 지적받은 금액이 21억원에 달해 군으로부터 경고 처분을 받았다. 또 전 노조위원장 A씨는 올 2월 영덕버스와 대표이사를 배임과 보조금 횡령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발해 현재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