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핀오프(Spin-off)는 드라마나 영화, 게임 등 기존의 작품을 바탕으로 만든 파생 작품 또는 파생 기술을 뜻하는 용어다. 특히 일상에서 널리 쓰이는 발명품 중 우주과학 기술의 산물이 많은데 정수기나 전자레인지, 화재경보기, MRI, CT, GPS 등이 그런 예다. 바로 우주과학에서 이전된 파생 기술 즉 스핀오프다. 인간의 달 착륙도 마찬가지다. 냉전 시대 미국과 소련의 신무기 개발 경쟁이 부른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1961년 5월 25일, 케네디 대통령은 의회 연설에서 "10년 내 우주비행사를 달에 보내겠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1972년까지 250억달러의 예산이 투입된 '아폴로 프로젝트'다. 달 착륙이라는 초유의 이벤트를 통해 미국이 얻으려 한 것은 바로 무기 기술의 고도화다. 한발 앞선 소련의 로켓 기술력과 핵 미사일 능력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미국의 우위를 되찾겠다는 반전 카드였다. 1969년 7월 21일, 아폴로 11호가 달에 내렸다.
앞서 1968년 12월 24일, 아폴로 8호는 생소한 사진을 지구에 전송했다. 달 지평선 위로 떠오르는 지구의 모습을 달 궤도에서 촬영한 것이다. 몇몇 우주인을 빼고는 여태 아무도 보지 못한, 사람이 사는 땅의 모습이었다. 인류에게 이보다 더 극적인 조망 효과를 주는 장면은 일찍이 없었다. '조망 효과'(Overview Effect)는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보며 느끼는 의식 상태를 뜻하는데 높은 곳이나 시야가 트인 곳에서 전체를 조망할 때 느끼는 감정을 일컫는다.
이런 효과가 극대화되는 곳이 바로 우주다. 칼 세이건은 지구를 '창백한 푸른 점'(Pale Blue Dot)으로 이름 지었다. 만약 광대한 우주에서 한 점 티끌보다 작은 지구를 되돌아본다면 어떤 감정을 느낄까. 강렬한 체험의 크기만큼 모든 것이 달라질 것이다. 인생관과 삶, 생명에 대한 의식까지.
2018년의 마지막 날에 섰다. 저무는 한 해를 되돌아보며 겸허한 반성과 다가올 시간에 대한 기대와 다짐의 진폭은 사람마다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이 또한 조망 효과다. 밝고 희망찬 새해는 차분히 자신을 추스르고 새로운 시간을 기다리는 사람만이 누리는 특권이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