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재건축'으로 불리는 소규모정비사업이 대구 도심 곳곳에서 활발하게 벌어지고 있다. 특히 가로주택정비사업은 올 들어서만 4곳에 조합이 결성되는 등 가속도가 붙은 상황이다.
21일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에서는 자율주택정비사업 1곳, 가로주택정비사업 7곳, 소규모재건축사업 16곳 등 모두 24곳에서 소규모정비사업이 진행 중이다.
가장 속도를 내고 있는 건 가로주택정비사업이다. 올 들어서만 4곳에서 조합이 설립됐고 수성구 시지경북타운, 남산동 반월당 행복마을, 78태평상가 등 3곳이 시공사를 선정했을 정도로 사업 진행이 빠른 편이다.
또 오는 25일에는 대구 동인시영 가로주택정비사업이 조합원 총회를 열고 태왕이앤씨와 고려개발, 대우산업개발 중 한 곳을 시공사로 선정할 예정이다. 이 밖에 동구 신천동 청구고 인근, 중구 남산동 경북여고 및 대봉동 향교 인근 등 3곳에서도 220~230가구 규모의 가로주택정비사업이 추진 중이다.
소규모재건축사업인 북구 침산동 한우맨션은 최근 조합 창립 총회를 열었다. 수성구 만촌동 청구매일맨션도 다음달 중에 재건축조합 창립 총회를 열 것으로 전해졌다.
소규모정비사업이 활발한 것은 일반 재건축에 비해 사업기간을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소규모정비사업은 정비구역 지정과 안전 진단, 조합설립추진위원회 구성 등의 절차가 생략된다. 그래서 사업기간 역시 재건축사업의 평균 기간인 8년보다 짧은 2~3년에 불과하다.
정부 규제 완화도 한몫하고 있다. 정부는 오는 10월부터 가로주택정비사업 면적요건을 기존 1만㎡ 미만에서 최대 2만㎡까지 늘리도록 허용할 예정이다. 가구 수의 20%를 임대주택으로 넣을 경우 용적률 인센티브도 제공할 방침이다.
그러나 소규모정비사업이 지역 건설업계 숨통을 틔워주긴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수익성이 낮을 뿐 아니라 역외 건설사들의 공격적인 수주경쟁도 이어지고 있어서다. 대구 한 건설사 관계자는 "가구 수가 적은 소규모 현장은 '규모의 경제'가 어려워 장비나 자재 단가가 상승하고 조합원 분담금이 증가할 수 있다"며 "낮은 수익을 감수하고 사업 수주에 나서도 지역 업체에 대한 별다른 지원책이 없어 역외 업체들의 공격적인 수주 공세에 밀리고 있다"고 우려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