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르신들이 갑자기 사리에 안 맞는 말씀을 하고, 헛것을 보거나 환청을 들으며 안절부절 못한다면, 가족들은 당황하고 크게 걱정하게 된다. 가장 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치매에 걸리신 건 아닐까?'하는 걱정일 것이다.
물론 치매에서도 사리에 안 맞고 전에 없던 행동을 보이게 될 수는 있으나, 노년층에서 정신병적 증상을 보이실 때는 치매 외에도 많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치매는 치료가 되지 않는다고 알고 있지만, 다른 많은 '노년기 정신병'은 적절한 치료로 호전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원인을 정확히 감별해서 적절한 대처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김혜금 영남대병원 교수는 "노년기에는 전반적인 신체 기능도 떨어지지만 뇌 기능도 조금씩 퇴행된다. 따라서 여러 요인에 영향을 쉽게 받게 되고 인지 기능이나 정신 기능의 변화를 일으키기도 한다"면서 "갑자기 정신 행동 이상을 보이시는 어르신이 있을 때 최대한 빨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게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신병 증상이란? 망상과 환각, 섬망
노인층에서 겪을 수 있는 정신병 증상이란 현실의 실제현상과 다르게 왜곡되게 느끼는 현상이다. 대표적으로 조현병에서 흔히 나타나는 '망상'과 '환각'이 있다.
망상이란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로 믿고 있는 생각이다. 대표적으로 누군가 나를 해치려 한다는 '피해망상', 나는 신과 같은 특별한 능력을 가졌다고 생각하는 '과대망상', 나와 관련이 없는 일을 나와 관련지어 생각하는 '관계망상', 배우자가 외도를 하고 있다고 믿는 '부정망상', 스스로 큰 죄를 지었다고 생각하는 '죄책망상' 등이 있다.
환각은 실제 없는 것을 잘못 지각하는 것인데, 헛것을 듣는 '환청', 헛것을 보는 '환시', 헛것을 촉각으로 느끼는 '환촉', 헛것을 냄새로 느끼는 '환후' 등이 있다.
또 몸 상태가 안 좋을 때 일어나는 일시적인 의식과 인지의 저하상태인 '섬망'도 정신병적 증상이다. 큰 수술을 받거나 전신 건강 상태가 극도로 악화되었을 때, 일시적인 의식 저하와 인지 기능의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노인의 뇌 기능 퇴행은 조금씩 진행되기 때문에 젊은 사람에 비해 몸의 컨디션이나 환경의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고, 몸 상태가 안 좋으면서 뇌 기능이 일시적으로 떨어진다.
섬망 상태에서는 시간, 장소, 상대방에 대한 인식이 떨어지고 주의 집중을 포함한 전반적 인지가 떨어지며 벌레나 짐승과 같은 헛것을 보고 안절부절 못하게 되는데, 특히 어두운 밤에 증상이 심해진다.
섬망은 원인이 전신 건강 악화이기 때문에 전신 상태가 호전되면 정신병적인 증상도 사라진다. 가장 걱정하는 부분은 섬망이 치매로 이어지는 것 아닌가 하는 부분인데, 뇌 질환에 의한 섬망이 아니라면 섬망은 치매와 별개의 상태로 보고 있다.
◆ 정신병 증상이 모두 치매로 진행되지 않아
가장 흔한 형태의 치매는 알츠하이머 치매이다. 알츠하이머 치매는 기억을 만드는 뇌 부위(해마를 포함한 내측 측두엽)부터 퇴행이 일어나기 때문에 최근의 기억을 잊어버리는 증상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뇌 전반적 퇴행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망상이나 환각 등의 정신병 증상은 흔히 일어나지 않는다.
즉 알츠하이머 치매는 중증으로 진행이 되어야 정신병 증상을 보인다. 하지만 루이소체 치매와 같은 드문 형태의 치매에서는 건망증이나 인지 기능의 저하가 두드러지기 전에 헛것을 보는 정신병 증상이 먼저 시작된다. 이 치매는 파킨슨 증상(몸이 떨리고 뻣뻣해지며 보폭이 좁아지는 등의 증상을 보임)이 흔히 동반되고, 수면행동장애가 동반되기도 한다.
이러한 특이한 형태의 치매는 적절한 진단이 따라야 하며 ▷인지 기능 ▷파킨슨 증상 ▷정신병 증상 모두를 적절히 조율하는 약물 조절이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정신병 약물이 파킨슨을 유발하기도 하고 파킨슨 약물이 정신병을 악화시키기도 하기 때문에, 약물의 섬세한 조절이 필요하다.
한편 노년기에는 뇌가 조금씩 퇴행이 일어남과 동시에 혈관의 위험 인자(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가 있는 경우 뇌혈관의 협착, 경색 등이 동반될 수 있다. 그 외에도 감염, 종양, 간질, 수두증 등의 다양한 뇌질환은 그 자체로 정신병을 유발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뇌 질환은 한쪽 팔다리 힘이 떨어지거나 발음이 어눌하거나 한쪽 얼굴에 마비가 일어나는 등의 신경학적인 운동감각 이상 증상이 동반된다. 그렇기 때문에 어르신들이 정신병 외에도 겉으로 보이는 운동 장애나 감각의 이상 등 신경학적 증상이 있을 때는 꼭 영상학적 검사를 포함한 뇌 기질적인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
◆우울증·조울증도 정신병 증상 동반 가능
원래 정신병 증상은 조현병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증상이다. 환청과 같은 환각 및 망상, 이에 영향받는 이상한 행동을 보이게 되는 조현병은 보통 20~30대에 발병한다.
노년기에 갑자기 조현병이 발병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그런데 정신병 증상은 조현병에서만 보이는 것은 아니다. 심한 우울증이나 조증 상태에서 정신병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이 때는 우울증이나 조증이 호전되면 정신병 증상도 호전된다.
노년기에 우울증 및 조울증은 꽤 흔한 질환이다. 우울증이나 조울증 같은 기분 장애에서도 정신병이 동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적절히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다른 기능은 멀쩡한데 망상이 공고하여 행동 문제를 일으키는 망상장애가 있다.
조현병은 망상과 환청 등의 정신병 증상이 있으면서, 이 증상에 영향을 받아서 일상생활 전반에 영향을 끼치는 질환으로, 초기 성인기에 발병한다. 하지만 중년기 이후에 발병하는 망상장애 같은 경우는 망상만 있을 뿐 다른 사회생활에서는 크게 문제가 없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배우자가 외도를 하고 있다는 망상이 공고한 환자는 직장 생활이나 다른 대인 관계에서는 아무 문제가 없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망상은 너무 공고해서 잘 없어지지 않고 망상과 관련된 행동이 쉽게 교정되지 않는다.

대개 망상장애 환자들은 치료 의지가 없다. 본인에게 문제가 있다는 것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망상이 심해지면 공격적이고 파괴적인 행동으로 자해, 또는 타해 위험이 있으므로 치료가 꼭 필요하다. 이럴 때는 망상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기 보다는 불안이나 불면, 스트레스 등의 불편함 해소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권유하는 것이 좋다.
도움말 김혜금 영남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