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교통 선진도시 대구]<하>보행자·노인·야간 교통사고 '집중관리'

올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 '90명 이하' 목표
3대 취약분야 집중관리로 교통사고 더 줄인다

경찰이 대구시내 한 초등학교 앞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에서 캠코더로 과속차량을 단속하고 있다. 매일신문DB
경찰이 대구시내 한 초등학교 앞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에서 캠코더로 과속차량을 단속하고 있다. 매일신문DB

대구시는 '비전 330'(3년 간 교통사고 30% 줄이기) 특별대책을 통해 1977년 첫 조사 이후 처음으로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두자리 수(97명)까지 끌어내리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사고 발생 건수는 1만4천여건으로 2018년 대비 약 10% 늘어나는 등 아쉬움도 남았다. 사망자가 발생할 만한 대형사고는 크게 줄었지만, 작은 접촉사고들까지 포함하면 교통사고 자체는 여전히 빈발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에 따라 대구시와 경찰은 올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90명 이하로 낮춘다는 목표를 세우고, 교통사고 건수가 늘어난 원인에 대해서도 분석해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 문제는 '3대 취약분야'

전문가들은 교통사고가 일어나기 쉽고, 또 곧잘 사망자가 발생하는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3대 취약분야'로 보행자와 노인, 야간 교통사고를 꼽는다.

보행자 교통사고는 그 특성 상 차량과 충돌한 보행자가 죽거나 다칠 확률이 매우 높다.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전국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사망자 3천781명 가운데 39%에 이르는 1천487명이 걷다가 차에 치여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같은 해 대구에서 발생한 120명의 교통사고 사망자 중 무려 47.5%인 57명이 보행 중 교통사고로 숨졌다. 지난 2015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9.2%의 두 배를 넘기는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교통사고 대부분이 차와 차가 부딪치는 사고라는 점을 감안하면, 보행 교통사고의 사망자 발생률이 매우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이중 상당수는 노인 사망자라는 점에서 그 심각성을 더한다. 한국교통안전공단 대구경북본부가 지난 2013~2017년 대구에서 일어난 보행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전체 사망자 386명 중 65세 이상 노인은 199명으로 51.6%에 달했다.

보행자와 노인 교통사고는 운전자의 시야가 좁아지는 밤과 이른 새벽 시간대에 더 자주, 크게 일어난다. 교통안전공단의 분석 결과, 대구의 65세 이상 노인 교통사고 사망자들은 주로 오전 5~6시에 보행 중 교통사고로 숨졌다. 2013~2017년 밤 시간대에 교통사고로 숨진 노인만 40명에 달했지만, 65세 미만 사망자는 12명에 그쳤다.

대구 어린이회관에서 열린
대구 어린이회관에서 열린 '교통사고 사망자 30% 줄이기 범시민실천결의대회'에 참가한 대구녹색어머니연합회 회원들이 교통안전을 다짐하며 깃발을 흔들고 있다. 매일신문DB

◆"집중관리로 취약점 잡는다"

대구시도 지난해부터 시작된 2기 특별대책에서 취약 분야 해결에 중점을 두고 있다. 세 가지 취약분야를 해결하지 못하면 교통사고 건수와 사망자를 줄이는 데도 한계가 생기기 때문이다.

먼저 야간 보행자 교통사고를 줄이고자 갖가지 시설을 안전한 구조로 바꾼다. 교통사고가 잦은 29곳을 선별해 차로를 조정하는 등 속도를 내기 어렵게 바꾸고, 노인과 어린이 등 교통약자 보호구역 34곳을 정비하기로 했다.

또 2022년까지 41억원을 투자해 보도가 없는 구간에 보도를 설치하거나 안전펜스 등을 보강해 안전한 보행환경을 만드는 사업에 나서기로 했다. 이에 더해 운전자들이 밤에 시야를 더 잘 확보하도록 야간 투광기 179대와 가로등 1천562개를 설치하고, 차선 303㎞를 고휘도로 개선할 계획이다.

아울러 근본적으로 차량 속도를 줄여나가는 계획에도 착수한다. 도심 도로의 제한속도를 기존 시속 60㎞에서 50㎞로, 이면도로는 시속 30㎞ 이하로 낮추는 게 핵심이다. 대구시는 2억원을 들여 내년 2월까지 '안전속도 5030' 추진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발주한 상태다. 여기에 고원식 횡단보도 29곳과 회전교차로(로터리) 3곳을 올해 추가로 설치해 속도 줄이기에 나설 방침이다.

어린이 교통사고를 낸 운전자의 처벌 수위를 높이는 일명 '민식이법' 시행에 맞춰 스쿨존과 통학로 교통안전 강화에도 나선다. 올해만 98대의 과속 단속 카메라를 초등학교 주변에 설치하고, 어린이 보호구역임을 알려주는 노란 신호등과 옐로우 카펫을 각각 8곳과 30곳씩 추가 설치하기로 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다양한 성과가 나왔지만, 교통사고 사망자를 지속적으로 줄이려면 안전의식 개선과 함께 취약 분야에 대한 집중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올해는 교통유관기관 및 시민단체와 합동으로 교통안전대책을 더 집중적으로 추진해 사망자를 90명 이하로 낮추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