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 확산을 막고자 내린 '제한적 입국 금지' 조치가 "국민 안전을 고려해 부득이하게 내린 조치"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3일 오후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 회의에 참여해 이처럼 말했다.
앞서 정부는 신종코로나 진원지인 중국 후베이(湖北)성에 2주 이내 방문했거나 체류한 적 있는 모든 외국인 입국을 4일 0시부터 전면 금지하는 등 내용의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으로 한중 관계에 마찰을 빚을 수 있다는 등 악영향이 우려되기도 했다. 때문에 정부가 '후베이성 체류 외국인'으로 입국금지 대상을 한정한 것은 이런 위험을 고려한 조치로 풀이됐다.
이날 문 대통령은 "중국은 우리 최대 인적 교류국이자 최대 교역국이다. 중국의 어려움은 곧 우리의 어려움으로 연결된다"면서 "서로 힘을 모아 비상 상황을 함께 극복하고, 이웃 국가로 지원과 협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이웃 고통을 외면하지 않고 함께 연대할 때 진정한 이웃으로 함께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이번 출입국 관리 조치가 우리 국민을 보호하려는 목적임을 재차 강조했다. 중국과 함께 사태 극복에 협력하는 것과 별개로, 국민 안전을 위해 제한적 입국금지나 제주 '무사증(무비자) 입국' 잠정중단 등 조치도 불가피했다는 것.
문 대통령은 총리가 진두지휘하는 범정부적 총력대응체계를 통해 지역 확산을 강력히 차단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무증상자가 확진 판정을 받는 사례나, 무증상자가 바이러스를 전파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 등 작은 가능성도 무시하지 않고 방역 구멍을 막겠다는 말 또한 더했다.
문 대통령은 "얼마나 더 확산할지, 언제 상황이 종식될지 알 수 없다"며 "위기 경보는 '경계' 단계를 유지하되, 실제 대응은 '심각' 단계에 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관리 대상도 최대한 확대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민의 불안 요소에 적극적 대응해야 한다. 어린이집·유치원·학교 등 아이들이 이용하는 시설과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방역강화에 더 각별히 주의해 달라"고 말했다.

불신과 혐오를 키우는 '가짜뉴스'를 경계하고, 경제보다 국민 안전을 더욱 우선시해 달라는 당부도 전했다.
문 대통령은 "공포와 혐오가 아니라, 신뢰와 협력이 진정한 극복의 길"이라며 "신종코로나 사태로 우리 경제에 큰 부담이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우리는 극복할 것이다. 우리에겐 축적된 경험과 국가적 차원의 방역 역량, 성숙한 시민 의식이 있다"고 했다.
이어 "국민들께서도 우리가 서로 손을 맞잡으면 충분히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져주시길 바란다. '우리는 서로의 사회안전망'이라는 시민의 목소리처럼 위기를 극복하는 힘은 국민에게서 나온다. 국민의 저력을 믿고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