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마스크 재고 부족에…미세먼지 대비 사업도 '유탄'

대구 8개 구·군에 57억여원 예산 배정…재고 없고 단가도 올라 사업 진행 난항

대구의 한 대형마트 마스크 판매대가 제품 소진으로 텅 비어있다. 매일신문DB
대구의 한 대형마트 마스크 판매대가 제품 소진으로 텅 비어있다. 매일신문DB
매일신문 | TV매일신문은 성서공단 내 한 마스크 전문업체((주)마스크로)를 찾아, 실상을 알아봤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 사태가 심각해지면서 봄철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미세먼지마스크 나눠주기 사업'에도 불똥이 튀었다. 마스크 제작업체마다 재고가 대부분 소진된 데다 마스크 가격마저 올라 사업 진행에 차질이 생겼기 때문이다.

11일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 8개 구·군은 국비 등 57억5천9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저소득층 주민들에게 봄철 미세먼지에 대비해 마스크를 나눠주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해 대구의 저소득층 17만 명에게 1인당 50매 가량의 마스크를 지원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신종코로나 사태 이후 마스크 업체들의 재고가 바닥나면서 각 구청이 계약 단계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다. 3월부터 마스크를 나눠주려면 이달 중순 조달청을 통해 업체와 계약한 뒤 늦어도 이달 말까지는 주민센터에 마스크를 나눠줘야 하는데 아직 구청이 주문조차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구청 관계자는 "보건복지부 차원에서 내려온 목적예산이라 미세먼지 대비를 위한 다른 정책에 쓰기도 어렵다. 만약 구매를 제때 못 하면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는 시기에 맞추기 어려울 수 있다"고 했다.

치솟은 마스크 가격도 골칫거리다. 평소 개당 800원 정도하던 마스크 가격이 신종코로나 사태로 개당 1천원을 넘어가면서 저소득층에 돌아갈 마스크 개수를 줄일 수 밖에 없다.

상황이 이렇자, 행정안전부와 대구시는 최근 공문을 통해 '직접 업체를 찾아 수의계약을 하더라도 마스크를 확보하라'고 지침을 내렸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다는 게 각 구청의 설명이다.

북구청 관계자는 "백방으로 업체를 알아보고 있지만 단가를 맞추기도 어렵고 애초에 주문할 수 있는 업체 자체가 거의 없다"며 "현재로서는 사태가 진정될 때까지 기다릴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