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언론 등 일각에서 쓰는 '대구 코로나', '대구발 코로나' 등 표현을 멈춰 달라고 경고했다.
채홍호 대구시 행정부시장은 22일 오전 대구시 브리핑에서 "일부 언론에서 '대구 코로나', '대구발 코로나' 등을 무분별하게 사용, 대구시민들을 또 한번 힘들게 하고 있다"며 이처럼 말했다.
채 부시장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COVID-19(한국명 코로나19)라고 공식 명칭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언론에서 지역 명을 붙여 칭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대구를 중심으로 코로나19가 전국에 확산하자 최근 일부 언론은 'OO구 상륙한 대구 코로나', '대구발 코로나 확산' 등 대구를 코로나의 원산지처럼 표현한 바 있다.이런 표현이 늘면서 지역 내 코로나 발생 현황을 지칭하는 기사 제목의 '대구 코로나19 확진자' 등 표현마저도 덩달아 '우한 코로나'를 연상케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대구 코로나' 표현은 실제 지역에 대한 좋지 않은 인상으로 이어진다. 최근 타 지역 일부 시민들은 대구 출신 직원, 면접 응시자, 파견 전문가 등에게 발병 여부와 무관하게 "한동안 고향에 가지 말라"거나 "채용할 수 없다, 계약을 보류하겠다"는 등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몇몇 누리꾼들은 "자기가 사는 지역에서도 코로나19가 발병했을텐데 유독 대구 사람만 받지 않는다는 것은 지역 차별", "우한폐렴도 쓰지 말자더니 대구 코로나가 웬 말이냐"고 목소리 높이고 있다.
대구시도 이를 놓고 단순 정보전달 목적이 아닌 지역 차별 결과를 낳을 수 있는 표현을 적극 막겠다는 취지를 내비쳤다.
채 부시장은 "대구시는 지역 명칭을 사용해 대구시민 자존심을 해치는 자극적인 표현에 대해서는 공식 사과를 요구하고 법적 조치하는 등 엄중히 대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