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세계적 대유행)이 극심한 경제 위기와 생활고를 초래하자 국민들에게 직접 현금을 나눠주는 나라들이 늘어나고 있다.
로이터통신과 CNN방송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25일(현지시간) 캐나다 하원과 상원을 통과한 820억 캐나다 달러(한화 70조2천800억원) 규모의 경기부양안에는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소득이 없어진 개인에게 매달 최대 2천 캐나다 달러(172만원)를 지급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소득 지원은 최대 4개월까지 가능하다.
미국 상원도 이날 역대 최대 규모인 2조2천억 달러(약 2천700조원)의 경기부양 패키지 법안을 만장일치로 가결했다. 이 법안에는 연소득 7만5천달러(약 9천200만원) 이하의 미국인에게 1천200달러(약 147만원)짜리 수표를 한 차례 지급한다는 내용이 들어있는데 부부는 2천400달러를 받고, 자녀 한 명당 500달러가 추가된다. CNN은 미국 싱크탱크인 세금정책센터의 추정치를 인용해 미국인의 90%가량이 혜택을 볼 것이라고 전했다.
일본 정부 역시 이번 위기를 맞아 자국민에게 현금과 상품권을 나눠주고, 외식이나 여행에 필요한 경비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는 일본 정부와 집권 자민당이 조율 중인 30조엔 규모의 코로나19 경제 대책에 포함된 것으로, 4월 보정예산(추가경정예산) 편성을 통해 확정될 전망이다.
일본 정부는 2009년에는 1인당 1만2천엔(만 18세 이하와 만 65세 이상은 2만엔)을 지급해 총액으로 약 2조엔(23조864억원)을 쓴 바 있다.

중국에서도 현금 지급 정책이 공식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전국정치협상회의(정협) 위원인 주정푸(朱征夫) 전국변호사협회 부회장은 최근 정협에 14억 중국인 모두에게 2천위안(약 35만원)씩, 총 2조8천억 위안(약 443조원)을 지급할 것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이미 지난달 홍콩은 만 7년 이상 거주한 모든 성인 영주권자 700만명에게 1인당 1만 홍콩 달러(약 155만원)를 지급하기로 했다.
싱가포르는 21세 이상 모든 시민권자에게 소득과 재산에 따라 최고 300 싱가포르 달러(약 26만원)를 현금 지원하기로 했다. 20세 이하 자녀를 둔 부모에게는 100 싱가포르 달러를 추가 지원한다. 호주는 오는 31일부터 650만명의 연금·실업급여 수급자에게 1인당 750호주달러(약 58만원)의 일회성 현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유엔은 25일(현지시간) 코로나19 사태와 관련, 전 세계 최빈국과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한 20억달러(약 2조4천620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성, 이른바 '인도주의 대응 계획'을 시행하기로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