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예천군선관위, 코로나19 사태에도 '교통 취약 지역 유권자 버스' 운영해 논란 가중

코로나19 코 앞인데, 밀폐된 차량에 오르라니요

제21대 총선 투표일인 15일 전라도 한 마을에서 유권자가 교통편이 불편한 시골 마을을 대상으로 선거관리위원회가 운영하는 선거인 투표 편의 지원 차량에 오르고 있다. 연합뉴스
제21대 총선 투표일인 15일 전라도 한 마을에서 유권자가 교통편이 불편한 시골 마을을 대상으로 선거관리위원회가 운영하는 선거인 투표 편의 지원 차량에 오르고 있다. 연합뉴스

경북 예천군이 코로나19 지역사회 감염으로 초비상인 가운데 예천군선거관리위원회(이하 예천군선관위)의 버스 지원 운영이 논란이다. 군민들 사이에서는 선관위가 투표율 제고를 위해 국민의 안전은 배제했다는 쓴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예천군선관위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일인 15일 교통이 취약한 지역에 사는 유권자를 위해 대·중형 버스 20대를 지원했다. 버스는 투표 시작부터 종료 시까지 운영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해당 지원 서비스는 코로나19가 불어닥친 예천 상황에는 전혀 맞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예천군이 매일 특별대책을 내놓고 있는 것에 반해 선관위가 오히려 확산을 키우는 서비스를 냈다는 것이다.

게다가 대중교통이나 목욕당 등 밀폐된 다중이용시설 감염이 잇따르고 있어 이 서비스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많을 수밖에 없다.

대구에 거주하는 A(32) 씨는 "아버지가 '선관위에서 태워주는 버스를 타고 투표하러 나가려고 한다'고 해서 귀를 의심했다"면서 "이 시국에 단체로 버스를 태워 이동한다는 것 자체를 이해할 수 없다"고 목청을 높였다.

문제는 이 버스가 운영되는 지역이 말 그대로 교통 취약한 시골 마을이라는 점이다. 시골 마을에는 면역력이 다소 떨어져 있는 노인들이 많은데다 교류 또한 잦다. 이 때문에 작은 면 단위로의 바이러스가 확산되면 '마을 전체의 안전을 보장 할 수 없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한 주민은 "분명 좋은 취지로 하는 사업이지만 코로나로 비상인 이 시국에 꼭 밀폐된 공간에 여러사람이 모이는 버스지원을 해야만 했는지 의문"이라며 "무슨 의도로 시행했는지 모르겠지만 심히 걱정이 된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예천군 선관위 관계자는 "각 정당과 협의해 교통이 취약한 지역에 사는 유권자들을 위해 버스를 운영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한 후보자 측 관계자는 "해당 선거 캠프와는 아무런 협의도 없이 진행된 부분"이라고 말해 논란의 여지는 남은 상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