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입사한 신입사원 A(28)씨는 요즘 한창 금융지식에 대해 '열공' 중이다. 코로나 테마주로 수백배 수익을 냈다는 등의 이야기를 듣고 도저히 이대로는 안되겠다는 위기감이 들었기 때문이다. A씨는 "월급만 모아서 잘 살기는 힘든 세상 아니냐. 그런데 정작 돌이켜보니 제대로 된 금융교육을 받은 적도, 투자 방법에 대해 아는 것도 전혀 없더라"고 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주식과 상장지수증권·펀드(ETN·ETF)투자 열풍이 불면서 금융상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지만, 국민 10명 중 7명은 금융지식이 충분치 않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위원회가 30일 공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 국민 68.6%는 자신의 금융지식 수준이 '충분하지 않다'고 답했다.
공공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등이 운영하는 금융교육 프로그램이 있다는 사실을 '모른다'는 답변도 85.3%나 됐다.
금융교육을 받아본 수강생 10명 중 3명(29.2%)은 '공짜 교육이라 하더라도 주변인에게 추천하지 않겠다'고 했다. 내용 자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실생활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교사와 금융 강사들은 "기관에서는 더 좋은 강의보다는 실적에만 관심있다"고 지적했다.
금융교육협의회는 이같은 설문조사에 따라 29일 금융교육 개선 기본방향을 의결하고 '금융이해력지도'를 통해 생애주기에 맞는 신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또 금융교육에 유튜브 창작자(크리에이터)를 활용하고, 강사 자격 기준을 마련해 국가 차원의 강사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