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로이터, WHO "코로나19 사라지지 않을 수도 있어"

세계각국 이동제한 완화, 경제활동 재개 움직임 우려스러워

대구 중구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을 찾은 세계보건기구(WHO) 소속 의사들이 코로나19 환자들을 치료하고 있는 격리병동을 둘러본 후 이동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대구 중구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을 찾은 세계보건기구(WHO) 소속 의사들이 코로나19 환자들을 치료하고 있는 격리병동을 둘러본 후 이동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세계보건기구(WHO)는 13일(현지시간) 세계 각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봉쇄 완화 움직임을 경고하고 나섰다고 로이터가 보도했다.

마이크 라이언 WHO 긴급준비대응 사무차장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 WHO 본부에서 열린 화상 언론 브리핑에서 "이 바이러스가 언제 사라질지 아무도 예측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이어 "100종이 넘는 잠재적인 백신이 개발됐고, 일부는 임상시험을 거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효과적인 백신을 찾는 것에 어려움을 표하고 있다"고 밝혔다.

라이언 사무총장은 "이런 가능성을 의제로 놓고 논의를 하는 게 중요하다고 본다. 코로나19는 인류에 또 다른 풍토병처럼 자리를 잡을 수 있다"면서도 "홍역 같은 질병도 사라지지는 않았지만 효과적인 치료제는 개발됐다"고 부연했다.

WHO는 이날 유렵연합과 미국 등 세계 각국이 최근 이동 제한을 풀고 경제 활동을 재개하는 움직임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했다. 통제를 완화할 경우 2차 유행이 올 수 있지만 관광업에 경제 의존도가 높은 유럽 일부 국가들은 여름 휴가철이 다가오자 국경 개방에도 나서고 있는 탓이다.

라이언 사무차장은 여전히 (코로나19 감염)위험이 여전히 높다고 밝혔다. 그는 "시간이 흐르면 WHO가 각국의 위험 평가를 하향 조정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며 "감염병 재발 에 대처하기 위해 바이러스에 대한 통제, 강력한 공중보건 감시 등 더 강력한 보건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먼저다"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