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전공의 고발 철회 가능성…의사 국시도 편의 고려

"신뢰회복 차원 합리적 조치…조속히 진료 복귀해 달라"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왼쪽)과 최대집 대한의사협회장이 4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증진개발원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왼쪽)과 최대집 대한의사협회장이 4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증진개발원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의과대학 정원 확대 등 의료정책과 관련한 협상에 대한 합의문 서명식'에 참석하던중 전공의들의 반대로 무산되자 돌아가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업무개시명령에 불복하며 진료 현장 미복귀 전공의들에 대한 고발을 취하할 뜻을 내비쳤다.

김헌주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4일 전공의 고발 조치와 관련해 "진료를 조속히 정상화하고 서로 간의 신뢰를 회복한다는 차원에서 최대한 합리적인 조치를 취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부와 의료계가 공공의대 등 정책 쟁점을 놓고 향후 원점에서 다시 협의하기로 합의한 만큼 상호 신뢰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하겠다는 취지다.

김 정책관은 의대생의 의사 국가시험 실기시험과 관련해서도 응시생들의 편의를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국시원)은 이날 오후 6시까지 의사 국가고시 응시 의사를 확인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는 "국시 시행 준비는 차질 없이 진행 중"이라면서도 "시험 재신청 의사를 계속 받고 있고, 응시생들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는 여러 방안을 함께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시험 시행에 대해서는 "실무적인 검토 사안이기에 앞으로 조절이 가능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전공의들이 이번 합의 내용을 믿고 진료 현장으로 돌아와달라고 강조했다.

손영래 복지부 대변인은 "이번에 합의된 내용은 국민들의 걱정과 불편을 끼쳐드리는 극단적인 방법 대신 대화와 협의에 의해 함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방안"이라며 전공의들의 조속한 복귀를 바랐다.

한편 최대집 의협회장은 이날 대회원 담화문에서 "올바른 의료환경과 합리적인 의료제도는 투쟁만으로 완성되지 않으며, 대화와 논의의 장에서 우리의 역량을 동원해 만들어가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의료계가 분열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전공의들이 4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증진개발원에서 열리는
전공의들이 4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증진개발원에서 열리는 '의대정원 원점 재논의 정책협약 이행 합의서 체결 협약식'을 막기 위해 로비에 모여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