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시 기회 달라" 고개숙인 병원장들…정부 "국민 공감 필요"

김영훈 고려대학교 의료원장(왼쪽부터)과 김영모 인하대학교 의료원장, 김연수 서울대학교병원장, 윤동섭 연세대학교 의료원장 등 주요 병원장들이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의대생들이 의사국가고시에 응시하지 않은 것에 대해 사과하는 성명을 발표하며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영훈 고려대학교 의료원장(왼쪽부터)과 김영모 인하대학교 의료원장, 김연수 서울대학교병원장, 윤동섭 연세대학교 의료원장 등 주요 병원장들이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의대생들이 의사국가고시에 응시하지 않은 것에 대해 사과하는 성명을 발표하며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요 대학병원장들은 의과대학 본과 4학년 학생들이 국가고시를 치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국민 사과'에 나섰다. 하지만 여전히 정부는 공정성 문제가 거론되는 등 국민의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응시 기회를 주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김영훈 고려대학교의료원장은 8일 정부서울청사 본관 브리핑룸에서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코로나19로 인해 매우 힘든 시기에 의대생들의 국가고시 문제로 국민들께 심려를 끼쳐드려 송구하다"고 밝혔다. 김연수 서울대학교병원장·윤동섭 연세대학교의료원장·김영모 인하대학교의료원장도 이 자리에 함께했다.

의대생들이 이번 국시를 응시하지 못할 경우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진다는 것이다. 그는 "코로나19 팬더믹이 언제 종식될지 모르는 엄중한 시점에서 당장 2천700여명의 의사가 배출되지 못하는 상황은 상상하기조차 싫은 심각한 의료공백"이라며 "의료의 질 저하가 심히 우려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민들의 마음을 사지 못한 점을 깊이 반성하고 있다"며 "질책은 선배들에게 해달라"고 했다. 이 같은 발표 뒤 이들은 전현희 권익위원장과 간담회를 갖고 문제를 논했지만, 권익위는 국민의 공감 없이는 해결해주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4대 의료 정책에 대한 반발의 일환으로 이뤄졌던 의대생 국시 거부와 관련해 정부는 앞서 국시 실기시험 일정·접수기한을 연기하는 등 변경한 바 있다. 의대생들이 자발적으로 시험을 거부하는 과정에서 정부는 더 이상 추가 시험은 불가능하는 입장을 못박았었다. 의사 국시 실기시험을 거부한 의대생들은 응시 대상사 3천172명 중 2천726명이다.

지난달 24일 의대생들이 국시 응시 의지를 밝히면서 추가 시험에 대한 기대감이 일었지만, 정부는 여전히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일부 의대생들이 청와대 국민청원을 통해 게시한 사과문에 대해서도 "의대생 몇 명의 사과만으로 국민 수용성이 높아질 것 같지는 않다"고 입장을 내비쳤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