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윤석열, 이낙연과 붙으면 이긴다?" 대선 가상 대결 설문조사

윤석열 VS 이재명도 초접전
윤석열에 이긴 이재명이 윤석열에 진 이낙연에 민주당 대선 후보 적합도에서도 앞서

이재명 경기도지사, 윤석열 검찰총장,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 연합뉴스
이재명 경기도지사, 윤석열 검찰총장,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 연합뉴스

대권 유력 주자들의 가상 대결을 예측한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현재 범여권 내지는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낙연 당 대표와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범야권에서는 소속 정당이 없고 정치인이라고도 볼 수 없는 윤석열 검찰총장이 대표 주자로 나와 있다. 이른바 3(쓰리)톱이다.

이들 간 가상 대결 결과가 17일 공개돼 눈길을 끈다.

▶윈지코리아컨설팅은 아시아경제 의뢰로 지난 15~16일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1천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우선 이낙연 대표와 윤석열 총장이 붙었다. 두 사람 중 누구를 지지하겠느냐는 질문에 윤석열 총장(42.5%)이 0.2%포인트 차이로 이낙연 대표(42.3%)에 앞섰다. 오차범위(95% 신뢰 수준 ±3.09%포인트) 내 이기는 하지만 근소한 차이로나마 승부가 났다. 윤석열 승.

이어 이재명 지사와 윤석열 총장도 붙었다. 역시 두 사람 중 누구를 지지하겠느냐는 질문에, 이번에는 이재명 지사(42.6%)가 0.7%포인트 차이로 윤석열 총장(41.9%)에게 이겼다. 역시 오차범위 내 접전으로 나타났으나, 근소한 차이로나마 승부는 났다. 이재명 승.

수많은 잠룡을 보유한 더불어민주당 내 대통령 후보 적합도를 물은 질문에 대한 결과도 나왔다. 여기서도 윤석열 총장에게 이긴 이재명 지사(25.1%)가 윤석열총장에게 진 이낙연 대표(22.7%)를 2.4%포인트 차이로 앞섰다.

이어 정세균 국무총리(5.9%), 추미애 법무부 장관(3.6%),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1.7%), 이광재 의원(1.1%) 순으로 언급됐다. 정세균 총리는 앞서 대권 레이스 참여 가능성을 시사했고, 추미애 장관은 대선보다는 내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 가능성이 좀 더 유력하게 제기되는 상황이다. 임종석 전 실장과 이광재 의원은 아직 관련 구체적인 징후가 나오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도 2李(참고로 이재명은 경주 이씨, 이낙연은 전주 이씨)가 2강 구도를 보이고 있는 점은 변함이 없다.

이재명, 이낙연, 정세균, 추미애. 매일신문DB
이재명, 이낙연, 정세균, 추미애. 매일신문DB

▶가상 대결 결과 및 민주당 내 잠룡 지지도 순위를 합쳐 보면, 이는 결국 단일 후보를 내야 하는 민주당에서 누가 조금이나마 더 경쟁력이 있는 지 가늠하는 중간 평가 결과로도 해석된다. 일단 이재명 지사 쪽으로 무게가 살짝 더해진 결과가 나온 것이다. 물론 이 역시 오차범위 내 결과이고, 대선 레이스가 출발도 안 한만큼 향후 변동 가능성은 크다.

국민의힘을 포함한 범야권 내 대통령 후보 적합도도 질문 중 하나였다. 그 결과 윤석열 총장(25.5%)이 가장 높았다. 이어 유승민 전 미래통합당 의원(11%), 홍준표 무소속 의원(10.8%),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7.6%), 오세훈 전 서울시장(6.1%),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2.5%) 순으로 나타났다.

앞서 여러 설문조사에서 윤석열 총장을 제외한 잠룡들의 경우 한 자리수의 '안습'한 지지율이 공개된 바 있는데, 최근 대권 행보 기지개를 켠 유승민 전 의원이 11%, 문재인 정부를 향해 연일 쓴소리를 하며 보수 통합을 강조하고 있는 홍준표 의원이 10.8%로 지지율을 꽤 끌어올린 모습도 확인된다.

윤석열 검찰총장, 유승민 전 의원, 홍준표 의원. 매일신문DB
윤석열 검찰총장, 유승민 전 의원, 홍준표 의원. 매일신문DB

이어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34.9%), 국민의힘(24.9%), 국민의당(7.3%), 열린민주당(6.1%), 정의당(5.3%) 순이었다. 무당층이 18.8%로 국민의당, 열린민주당, 정의당보다 앞섰다.

현재 국내 주요 정당은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그리고 무당(無黨). 이렇게 3개 당 뿐이라는 '뼈 있는' 농담도 가능한 셈이다.

설문조사 관련 자세한 내용은 윈지코리아컨설팅 및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