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교통전문가 10명 중 7명 "가덕도신공항 특별법 반대"

10명 중 6명, 김해신공항 검증위 결론에 부동의
대한교통학회 회원 100명 상대 무기명 설문조사

대구시의회 통합신공항 건설 특별위원회가 11월 18일 오후 대구시의회 간담회장에서 김해신공항 백지화 시도 규탄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구시의회 통합신공항 건설 특별위원회가 11월 18일 오후 대구시의회 간담회장에서 김해신공항 백지화 시도 규탄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교통 전문가 10명 중 6명은 '김해신공항 사업이 근본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김해신공항 검증위원회의 결론에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0명 중 7명은 '가덕도 신공항 특별법' 추진에 부정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최근 대한교통학회(회장 김시곤 서울과학기술대 교수)가 회원 100명을 대상으로 무기명으로 실시한 '영남권 신공항 논란' 관련 긴급설문조사 결과다.

대한교통학회는 교통 전문가와 전공자 등 4천여 명과 150여 개 기관·단체를 회원으로 둔 국내 최대의 교통학술단체다. 대한교통학회는 8일 오후 영남권 신공항과 관련한 논란을 짚어보고,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한 온라인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는 유튜브 '교통학회 TV'를 통해 중계됐다.

이날 온라인 토론회에서 정진혁 연세대 교수가 발표한 긴급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5%는 '김해신공항 검증위의 결론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동의한다'는 응답은 26%였다.

동의하지 않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정치적 상황에 독립적이지 못한 검증 결과(90.8%) ▷정책수립의 불확실성 증대(38.5%) ▷다양한 전문가에 대한 의견수렴 부족(35.4%) 등이 꼽혔다.

정치권의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포함한 '가덕도 신공항 특별법' 추진과 관련해 76%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찬성은 13%였다.

동의하지 않는 이유로는 ▷공항정책에 대한 정치권의 과도한 개입(89.5%) ▷전문가 의견과 입지 축소(35.5%) ▷특정 지역 이익만 대변(21.1%) 순이었다.

정부의 후속 조치와 관련해 ▷현재 기본계획안에 지적사항 수용·보완해 김해신공항 계속 추진(62%) ▷김해신공항 백지화 및 새로운 입지선정 원점에서 다시 시작(15%) ▷김해신공항 백지화 및 가덕도 신공항 추진(15%)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후속 조치 고려 사항으로 ▷정치적 상황에 대한 독립성(66%) ▷투명하고 객관적인 의사결정 과정(63%) ▷첨단 정밀기술을 이용한 기술적 검토(41%) ▷미래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경제성 검토(36%) 순으로 조사됐다.

총리실 산하 검증위는 지난달 17일 장애물 존치에 대한 지자체 사전 협의 미이행 등 법적 절차 미준수에 따른 결함과 미래 확장성 부족 등을 이유로 김해신공항 사업에 대해 '근본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려 논란을 일으켰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